IT기술노트763 중앙처리장치 메이저 상태 (CPU Major State) 중앙처리장치 메이저 상태 (CPU Major State) I. CPU의 4가지 작업상태, 중앙처리장치의 메이저 상태 개요 가. 중앙처리장치의 메이저 상태 정의 - CPU가 현재 수행하는 4가지 형태( Fetch, Indirect, Execute, Interrupt )의 작업 상태 나. 메이저 상태의 특징 - CPI는 4가지 상태를 반복적으로 수행, 메이저 상태 레지스터를 통해 확인 II. 메이저 상태 개념도 및 설명 가. 메이저 상태 개념도 나. 메이저 상태 설명 메이저 상태 역할 동작 과정 Fetch -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CPU 레지스터로 가져와서 해독 MAR ← PC, PC에 있는 번지를 MAR에 전송 MBR ← M[MAR], 메모리에서 MAR이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에 전송 PC ← PC +.. 2023. 10. 9. 데이터베이스 보안 3대요소 데이터베이스 보안 3대요소 I. 위협과 위험으로부터 데이터 보호, 데이터베이스 보안 3대요소 -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도중에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기술적 방법인 정보보안의 3대요소를 데이터베이스 보안에 적용 II. 데이터베이스 보안 3대요소 설명 가. 기밀성(Confidentialty) 정의 - 선별적인 접근 체계를 만들어 인가되지않은 개인이나 시스템에 의한 접근에 따른 정보 공개/노출 차단 침해방식 Shouler Sniffing - 사용자의 어깨 너머로 스크린에 보이는 데이터 관찰 Traffic 분석 -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간 Traffic 분석으로 데이터 관찰 사회공학적 기법 - 해당 데이터에 권한 접근이 있는 사람으로 가장하여 데이터 접근 .. 2023. 10. 6. LLM (Large Language Model) I. 인공 일반 지능(AGI)으로의 진화, LLM의 개요 가. LLM의 정의 - 수십억 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복잡한 자연어 패턴을 학습하여 문장 생성, 기계 번역, 질문 응답, 감정 분석 등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대규모 자연어 처리 모델 - 대표적인 Large Language Model : GPT, BERT 나. LLM의 주요 용어 용어 설명 단어 임베딩 - 단어의 의미를 숫자 형식으로 표현하여 AI 모델을 입력하고 처리하는 알고리즘 -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가 서로 더 가깝게 위치하는 고차원 공간에서 단어를 벡터에 매핑 주의 메커니즘 - AI가 출력을 생성할 때 텍스트의 감정 관련 단어와 같은 입력 텍스트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게 하는 알고리즘 트랜스포머 -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2023. 8. 23.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 (제7판) 주요 개정사항 I.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 (제7판) 개정 필요성 - 주요 개정사항 2가지외에는 6판과 차이없음 II.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 (제7판) 주요 개정사항 번호 항목 현행 (제6판) 개정 (제7판) 사유 1 범위확대 -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서비스 도입·전환 우선 검토 -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 적용 우선 검토 - 정부 핵심 추진 과제 반영 2 수립제외 - ISP·ISMP 수립제외 유형 제시 - 유형별 세부 사례 추가 - 빈번한 문의사항에 대한 설명 명확화 ※ 비트코기 첨언 : ISP·ISMP 7판 문제에 대응하기위해 주요 개정사항 2가지를 기억하고 ISP·ISMP의 단계별 활동, 주요 산출물, ISP·ISMP 차이점을 알아야합니다. 또한 주요 개정사항 1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 2023. 8. 21. AICC (Artificial Intelligence Contact Center) I. 대고객 커뮤니케이션의 디지털 전환, AICC의 개념 - 지능화된 알고리즘과 언어처리기술 기반의 로봇이 고객 문제를 직접 해결하거나, 실시간 상담 지원 체계와 업무 자동화를 구현하는 컨택센터 II. AICC 아키텍처 및 주요 기술 가 .AICC 아키텍처 -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역량을 응집시켜 대고객 커뮤니케이션 업무 환경 전반을 재설계 나. AICC 주요 기술 구분 주요 기술 설명 AICC Platform 가상 상담 - AI (챗봇, 보이스봇)가 상담사를 대신하여 고객의 질문과 의도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무인상담 서비스 상담 지원 - 고객 상담 내용의 키워드/패턴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담지식추천, 상담유형분류, 상담내용요약 등 자동화된 상담지원 기능 상담 분석 - 상담 내용을 실시간으로 자.. 2023. 8. 5.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I. 전통적인 사이버보안 체계의 변화, 제로트러스트의 추진배경 환경의 변화 - 모바일, 사물인터넷, 클라우드의 확산으로 원격재택 근무환경이 조성 - 코로나 19로 비대면사회가 가속되어 기업망 보호를 위한 전통적인 사이버 보안체계의 변화 필요 기존 경계 기반 보안모델의한계 - 최근 발생한 수많은 해킹 및 랜섬웨어 공격 사례로 경계 기반 보안모델의 한계점 노출 - 최근 등장하는 보안 솔루션만으로 완벽한 해결책 제공 불가능 미국의 제로트러스트 도입 - 미 민간의 제로트러스트 논의 및 도입 - NIST의 문서 발표('20. 8월 SP 800-207) 후 미 연방 정부 행정명령(EO 14028)을 통해 연방정부 차원의 제로트러스트 본격 도입 중 - 기관 및 기업의 '경계' 기반 보안체계 구축보다 '내부 데이터 보.. 2023. 7. 25. ESG 공시 의무화 I. ESG 2.0의 초석, ESG 공시 의무화의 개요 구분 설명 정의 - 2025년부터 일정 규모 이상 자산을 보유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로 하여금 ESG 정보 공개를 자율적이 아닌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제도 정보공개 필요성 기후변화위험 관심 고조 -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을 적절히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공개를 위한 권고안 마련 책임투자 확산 - 투자 대상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초점에서 벗어나 비재무적 성과 고려, 투자 대상의 잠재적 위험을 관리하는 방식 변화 글로벌 규제 강화 - 많은 국가에서 기업의 자율적인 ESG 활동을 권고하는 단계를 넘어, 최근에는 ESG 성과 관리를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규제들 마련 -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최종 공시기준 공표로 인한 ESG 공시 의무화 가.. 2023. 7. 13. 벡터 데이터베이스 (Vector Database) I. 복합 비정형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검색, 벡터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문자, 이미지, 음성, 동영상과 같은 복합 비정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검색하기 위해 벡터 데이터로 표현하여 저장, 관리 및 처리하도록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 특징 : 확장성, 조정 가능성, 멀티 테넌시, 데이터 격리 II. 벡터 데이터베이스의 아키텍처 및 주요기술 가. 벡터 데이터베이스의 아키텍처 - 벡터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REST API 형태로 제공하여 다양한 언어에서 접근 및 활용 가능 나. 벡터 데이터베이스의 주요기술 구분 주요기술 설명 외부영역 REST API -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도록 관리 - HTTPS 호출 형태로 클라이언트 호출 수행 내부영역 단일단계 필터링 - 메타데이터를 통한.. 2023. 7. 6. 메타버스 윤리원칙의 3대 지향가치와 8대 실천원칙 I. 메타버스 내 윤리적 · 사회적 이슈 대두, 메타버스 윤리원칙의 필요성 -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유사한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가상 현실 공간으로 메타버스 내에서 윤리적이고 사회적으로 문제가되는 여러 이슈들이 제기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메타버스 윤리원칙 마련 필요 메타버스 내 윤리적·사회적 이슈 - 가상자아에 대한 비윤리적 행위 - 아동·청소년 등에 대한 유해 콘텐츠 노출 및 유통 - 광범위한 새로운 형태의 개인정보 수집 - 메타버스 접속 기회에 대한 불평등 등 - 이에 윤리규범 수립 필요성이 제기되어 메타버스 윤리원칙 마련 II. 3대 지향가치와 8대 실천원칙 가. 3대 지향가치와 8대 실천원칙 개념도 나. 3대 지향가치와 8대 실천원칙 설명 구분 지향가치 및 실척원칙 설명 .. 2023. 7. 2. 토큰 증권 (Security Token) I.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형태로 발행되는 증권, 토큰 증권의 개념과 규율체계 가. 토큰 증권의 개념 -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활용해 자본시장법상 디지털화(Digitalization) 한 증권 - 디지털 자산 측면에서는 증권이 아닌 디지털자산(소위 ‘가상자산’)과 대비되는 “증권형 디지탈 자산”을 의미 - 증권 제도 측면에서는 실물 증권과 전자 증권에 이은 증권의 새로운 발행 형태라는 점에서 “토큰 증권”으로 명칭을 정리 나. 토큰 증권의 규율체계 - 투자자가 얻게 되는 권리가 법상 증권에 해당한다면 어떤 형태를 하고 있든지 투자자 보호와 시장질서유지를 위한 공시, 인.허가 제도, 불공정거래 금지 등 모든 증권 규제가 적용 - 토큰 증권은 .. 2023. 5. 18. 이전 1 2 3 4 5 6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