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스마트공장 (Smart Factory)

by 비트코기 2022. 9. 2.
반응형

I. 모든 생산과정의 ICT기술 통합, 스마트공장의 정의

-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부터 판매까지 모든 생산과정을 ICT(정보통신)기술로 통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사람 중심의 첨단 지능형 공장

 


II. 스마트공장 적용범위

- 스마트공장은 제품 기획 및 개발부터 양산까지, 주문에서부터 완제품 출하까지 제조 관련 모든 과정을 의미

- 응용시스템 뿐만 아니라 현장자동화와 제어자동화 영역까지 공장 운영의 모든 부분을 포함

 

III. 스마트공장의 수준별 단계

- 스마트공장의 ICT 기술의 활용 정도 및 역량 등에 따라 ‘구축시스템 스마트화 수준(기초 – 중간1 - 중간2 – 고도)’을 구분

- 기업의 종합적인 스마트 역량을 측정하여 ‘기업제조혁신역량 수준(Level 1 ~ 5)’으로 구분하고 있다

 

IV. 스마트공장의 5대요건

요건 설명
4M+1E의 디지털화 - 4M + 1E의 각 요소 (Man, Machinery, Material, Method, Environment)들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값을 인지하고, 측정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통신을 통해 대화가 가능
지능화 -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 등의 솔루션을 이용, 최적해 또는 예측가능한 해를 제공
통합 - 사회망과 가치사슬을 통해 단대단(End-to-end)의 정보 교류가 이뤄지도록 하는 수평적 통합과 최하위  수준인 기계장치로부터 기업 비즈니스 수준까지 수직적 통합을 지향
엔지니어링 지식의 창출 - 지속해서 정보를 확보하고 저장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를 위한 제조 지식을 점진적으로 창출ㄹ
스마트 시스템과의 연결 향후에 발전할 스마트 제품들과 통ㅅ힌 표준에 의거해 연결이 가능

 

※ 출처 :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https://www.smart-factory.kr/smartFactoryIntr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