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디지털 플랫폼 정부

by 비트코기 2023. 4. 1.
반응형

I. 새로운 가치 창출, 디지털 플랫폼 정보의 개요

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정의

   -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디지털 플랫폼" 위에서 국민, 기업, 정부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정부

나.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특징

이용자 참여 생태계 구성 - 정부/공공 디지털 서비스라는 시장에 디지털 플랫폼, 디지털 서비스 기업,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가 참여하는 생태계 구성
플랫폼 서비스 제공 - 생태계가 원활하게 작동하고 많은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도록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디지털플랫폼 정부위원회 설치 및 운영으로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실현하기 위한 주요 정책 등의 심의 / 조정


II.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구성도

 

-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플랫폼 공급자, 서비스 공급자, 플랫폼 이용자와 이를 구성하는 생태계로 구분

 

나.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공급 측면 디지털 플랫폼 공급자
(정부)
- 정부가 디지털 플랫폼 구축/운영/제공
- 플랫폼 운영방식에 대한 조정/결정을 통해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
서비스 공급자
(기업 및 개발자)
- 기업 및 개발자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API, SDK, 클라우드, 공공데이터 등을 활용해서 서비스를 제안/개발/공급/혁신하는 역할 수행
소비 측면 디지털 플랫폼 이용자
(소비자)
- 국민은 서비스 수혜자이자 데이터 및 의견 제공을 통한 디지털 플랫폼 정부 참여자로서 디지털 플랫폼 정부 기능 강화에 참여
생태계 측면 생태계 가치화 - 국민 편인, 정부 행정 효율화, 민간 혁신 등 국민, 정부, 민간 모두에 가치 발생
- 운영상 수집되는 모든 데이터가 가치화

-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민간이 자유로운 참여가 중요하며 개인 맞춤형 대국민 서비스 제공으로 민간의 자유로운 참여 확대 기대

 

III.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기대효과

기대효과 설명
개인 맞춤형 대국민 서비스 제공 - 정부와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이용해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활용
서비스의 확장성 -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민간의 참여를 통해 정부 서비스의 다양한 확장
지속가능한 혁신성 - 다양한 수요자와 공급자간 상호작용을 통한 서비스의 지속적 발전 수행

-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구축함에 있어 디지털 플랫폼 비즈니스의 장점을 벤치마킹 하는 것 뿐만 아니라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인 생태계 정화 프로세스 필요

 

※ 출처 : 한국생산성본부 기술사회 129회 정보관리기술사 기출풀이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