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124

스마트 그리드 보안 I.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가.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위협 요인 분류 보안 위협 요인 제어시스템 위협 - 미터기에 대한 복잡하고 정교한 공격이 발생, 봇이나 웜 등의 악성코드를 이용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시 대규모 정전상태 발생 가능 네트워크 위협 - 인터넷과 연동될 경우 외부에서 인터넷의 취약성을 이용하여 제어시스템으로의 침투 가능성 전재 소비자 보안 위협 - 스마트 그리드에 저장된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정보를 통해 소비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됨으로 피해 발생 가능 II. 스마트 그리드의 보안 대책 가. 정책적 보안 대책 분류 설명 법/제도 - 정보통신기반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준용하여 스마트 그리드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주요기반시설의 보안에 대해 규정할 수 .. 2021. 2. 17.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I. 전력망과 IT기술의 지능적 발전, 스마트 그리드의 개요 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정의 - 전력시스템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하여, 전력 수급 조건에 맞추어 전력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자원을 관리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 수송, 소비하도록 해주는 시스템 최적화 기술 나.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 - 자가치유, 능동적 고객참여, 보안강화, 고품질 전력제공, 다양한 발전기술, 자유경쟁시장, 설비자산최적화 II.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도 및 기술요소 가.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도 나. 스마트 그리드의 기술요소 기술구분 기술요소 설명 스마트계통 운영기술 - 급전종합자동화 설비(EMS) - 원격감시제어설비(SCADA) - 배전 자동화 시스템(DAS) - 원거리 배전선로용 개폐기를 조.. 2021. 2. 17.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 I. IT융합 확산전략의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의 개요 가.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의 개념 - IT융합 확산을 통해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 - 주력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생활 밀착형 IT융합 서비스, IT융합 성장 인프라 확충 나.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의 목적 II.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의 범위 범위 IT융합도입기(2018~2012) -> IT융합 확산기(2013~2017) 10개 범위 자동차, 조선, 항공 주력산업 -> 주력산업 + 생활밀착형 서비스 단계 기술도입 단계 -> 시장, 생활 상용화 단계 전략 원천기술 개발 -> IT 융합 기술의 실증, 확산 제도 소극적 규정, 행정지원 -> IT 융합 활성화 위한 제도 개선 III. 생활.. 2021. 2. 17.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통합관제, 통합운영, 통합연계, 통합DB I.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개요 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정의 - 스마트도시 통합운영센터에서 도시상황 통합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기반 소프트웨어로서 방범, 방재, 교통, 환경, 시설물 관리 등 스마트 서비스 및 도시 관리를 위해 운영중인 각종 정보시스템을 센터로 연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II.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구성도 - 통합관제, 통합운영, 통합연계, 통합DB로 구성 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상세설명 특징 통합관제 - 상황판 구성, 다양한 S-서비스 별 상황이벤트 동시 표출 및 관제 지원 - 통합플랫폼 유틸리티 모음 - GIS Utility 등 통합운영 - Enter.. 2021. 2. 17.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 I. SDN과 Connected Car의 결합 SDV의 개요 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의 정의 - 차량 네트워크 기능과 지능형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면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관리를 간소화하여 운영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네트워크 기술 II.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도 및 구성요소 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도 - 최소 전송지연 및 높은 처리량과 같은 고성능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클라우드 컴퓨팅 및 포그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평면, 제어 평면 및 데이터 평면 등 3개의 평면으로 구성 나.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의 네트워크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장치 클라.. 2021. 2. 16.
ISO 26262 IEC 61508, ASIL I. 차량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ISO 26262의 개요 가. 자동차 기능 안정성 국제표준, ISO 26262의 정의 - 자동차에 탑재되는 SW 오류로 인한 사고방지를 위해 ISO에서 제정한 자동차 안전 국제규격 나. ISO 26262의 특징 - 제품수명주기 전 단계의 기능안전표준, 제품 개발 전 단계의 통합, 위험기반 안전표준, ASIL 등급사용, SW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준수(CMMI, ASPICE) 다. ISO 26262의 차량 안전성보전 등급 ASIL - IEC 61508 안전성보전등급을 자동차의 특성에 맞게 개선한 차량 안전성 보장등급 II. ISO 26262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ISO 26262의 구성도 - 차량의 안정성 보전 등급과 하드웨어 중심.. 2021. 2. 16.
AUTOSAR I. 자동차 전장 소프트웨어 플랫폼, AUTOSAR의 개요 가. AUTOSAR의 정의 - 자동차의 제어기(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소프트웨어(플랫폼/미들웨어/OS, 통신, 메모리, I/O, HW,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한 규격을 표준화하는 단체명이며 동시에 표준 규격의 이름 나. AUTOSAR의 특징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리, 모델기반 개발 방법론, XML 문서로 상호연결 II. AUTOSAR의 아키텍처 및 계층구조 가. AUTOSAR의 아키텍처 - 5개의 계층구조로 구성 나. AUTOSAR의 계층구조 계층 설명 Application Layer - 어플리케이션 계층에는 SW-C와 Application SW-C 위치 -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ECU, 하.. 2021. 2. 16.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I. 자율주행 자동차의 레이저를 이용한 거리측정기술, 라이더의 개요 가.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정의 - 레이저 레이더와 같이, 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여 개발한 레이더 기술로 레이더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3차원으로 관측 및 인지 가능한 센서 나. 라이다의 특징 - 공간분해 기능우수, 실시간 관측, 차량 상황 측정, 외부 환경 인지 II. 라이다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라이다의 구성도 나. 라이다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Source - 변조된 레이저 빔을 광학계를 통해 균일한 패턴의 레이저 빔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모듈로써, 광원인 LD(Laser Diode), 레이저 변조 신호를 제어하는 Illumination Board .. 2021. 2. 16.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I. ADAS를 위한 핵심 부품, 레이더의 개요 가.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의 정의 - 전자파를 대상물에 발사해 그 반사파를 측정하여, 대상물까지의 거리, 속도, 각도와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 나. 레이더의 종류 - 펄스레이더: 레이더의 송수신에 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 - 연속파 레이더: 송신 신호가 시간에 대해 휴지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발사되는 레이더 II. 레이더의 구성도 및 주요 알고리즘 가. 레이더의 구성도 - MCU(Microcontroller Unit)에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제어하여 레이더 파형을 생성하고 송신부를 통해 파형을 송신한 후 수신부를 통해 표적에 의한 반사된 신호 수신 나. 레이더의 주.. 2021. 2. 16.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I. WAVE의 개요 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의 정의 - 고속 이동 중인 차량 네트워크에서 운전자의 안전 정보 및 상업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전송 기술 II. WAVE의 프로토콜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WAVE의 프로토콜 구성도 나. WAVE의 프로토콜 구성요소 구분 설명 IEEE 802.11p - WAVE통신 스택의 하위 계층, 즉 PHY와 MAC계층에 대하여 정의 IEEE 1609 IEEE 1609.1 - 어플리케이션이 주어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원을 관리하는 RM(Resource Management)에 관하여 정의 IEEE 1609.2 - 보안이 보장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이 .. 2021.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