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전력망과 IT기술의 지능적 발전, 스마트 그리드의 개요
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의 정의
- 전력시스템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하여, 전력 수급 조건에 맞추어 전력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자원을 관리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생산, 수송, 소비하도록 해주는 시스템 최적화 기술
나. 스마트 그리드의 특징
- 자가치유, 능동적 고객참여, 보안강화, 고품질 전력제공, 다양한 발전기술, 자유경쟁시장, 설비자산최적화
II.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도 및 기술요소
가. 스마트 그리드의 개념도
나. 스마트 그리드의 기술요소
기술구분 |
기술요소 |
설명 |
스마트계통 운영기술 |
- 급전종합자동화 설비(EMS) - 원격감시제어설비(SCADA) - 배전 자동화 시스템(DAS) |
- 원거리 배전선로용 개폐기를 조작 - 고장구간 자동색출, 전력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
AMI 기술 |
- 지능형 전력량 계량기술 - 소비자수요반응기기 - 지능형 관리시스템 - 지능형 전력관리 네트워크 |
- 기존원격검침(AMR) 보다 기능이 향상된 개념 |
HAN |
- Zigbee - PLC |
- 주로 가정 내에서 스마트 미터와 같은 게이트웨이와 소형전력기기를 연결하는 통신망 혹은 규약 |
수요반응 |
- 수요 측 에너지관리 - 자동화된 오류 검출과 진단 |
- 계약 혹은 자의에 의해서 전력피크시의 전력사용을 축소시키는 기술 |
전력유통 메커니즘 |
- 실시간 대용량 정보처리 -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
- 대용량 야간 저장 후 수요관리 - 사용성 모니터링 후 준비가능 - 네트워크 통한 송배전 인터페이스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0) | 2021.02.17 |
---|---|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 (0) | 2021.02.17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0) | 2021.02.17 |
스마트 그리드 보안 (0) | 2021.02.17 |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 (0) | 2021.02.17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0) | 2021.02.17 |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 Defined Vehicle) (0) | 2021.02.16 |
ISO 26262 (0) | 2021.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