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기술, AMI 개요
가.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정의
- 스마트 미터를 기반으로 미터링 디바이스와 통신해서 요구 시 또는 주기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 및 수집하여 분석하는 시스템
나. AMI 등장배경
II. AMI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
가. AMI의 개념도
![]() |
- AMI는 상위시스템, 통신시스템, 관리시스템으로 구분되어 구성
나. AMI의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설명 |
상위 시스템 |
MDMS |
- 미터 데이터 관리 시스템 |
CIS |
- 고객정보 기반으로 고객 관리와 과금의 주체가 되는 시스템 |
|
OMS |
- 수용가 측 정전 정보를 수집/저장, 정전에 대응 |
|
WMS |
- 미터의 설치나 서비스 등 작업자 들에 대한 명령과 실행기록 |
|
EAM |
- 미터나 HAN내 전력사 소유의 디바이스 등 자산에 대해 취득, 운용, 소멸에 대학 기록 관리 |
|
ESB |
- MDMS를 비롯한 상위 시스템 연결, IEC 61698 |
|
통신 시스템 |
WAN |
- 광통신망, 케이블 망 등 공중망 사용 |
NAN |
- 중계기와 미터 사이의 영역 |
|
HAN |
- 수용가 내부의 통신 네트워크로 PLC, Zigbee 등 |
|
관리 시스템 |
스마트 미터 |
- 양방향 통신 기반, AMI의 중신적인 역할 |
DCU |
- 가정에 설치된 전력량계와 AMI 서버 간 네트워크 연계기능을 담당 |
|
DR |
- 사용자 수요 반응을 모니터링 및 관리서버로 정보 전송 |
|
IHD |
-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지원,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vesting) (0) | 2021.02.17 |
---|---|
ESS(Energy Storage System) (0) | 2021.02.17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0) | 2021.02.17 |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 (0) | 2021.02.17 |
스마트 그리드 보안 (0) | 2021.02.17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0) | 2021.02.17 |
생활밀착형 신산업 IT융합 (0) | 2021.02.17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