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차세대 신재생 에너지 및 스마트그리드 핵심기술, ESS 개요
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정의
- 생산된 전력을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을 포함한 각각의 연계 시스템에 저장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 사용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
나. ESS의 종류
- 리튬전지, 나트륨황 전지, 레독스플로우 전지, 슈퍼커패시터, 양수발전, 압축공기저장, 플라이휠
II. ESS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ESS의 구성도
나. ESS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설명 |
적용기술 |
BMS |
- 배터리의 안전상태와 고장 유무를 진단하고 배터리의 온도와 셀 밸런싱을 제어 |
- 배터리 셀 관리, PCS와 연동기능 |
PCS |
-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교류로 변환 및 전력을 공급 또는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 |
- 전력 변환, 배터리 전력 저장기술 |
PMS |
- 네트워크와 전력전자기술 기반 스마트 통합 관리 이용 수요 및 분산 전원의 간혈성을 완충 |
- 전력 수요 분석 및 전력 분산 기술 |
- 배터리를 관리하고 배터리 전력의 변환 또는 충전 그리고 전체 ESS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
III. ESS의 적용분야 및 역할
작용분야 |
전력수급 안정 |
신재생 에너지 |
스마트 그리드 |
역할 |
- 유휴전력을 저장하여 피크시간 공급 |
- 불연속 생성되는 전력을 보관하여 필요시 공급 |
-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고객 요청 시 제공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0) | 2021.02.17 |
---|---|
CPS(Cyber Physical System) (0) | 2021.02.17 |
스마트 팩토리 (0) | 2021.02.17 |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vesting) (0) | 2021.02.17 |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0) | 2021.02.17 |
마이크로 그리드(Micro Grid) (0) | 2021.02.17 |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0) | 2021.02.17 |
스마트 그리드 보안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