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124 마이데이터 표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 개인신용정보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 보장, 마이데이터 표준 API의 개요 - 마이데이터사업자와 정보제공자간 개인신용정보 전송시 안정성과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API 규격 - 종류 : 인증 API, 정보제공 API, 지원 API II. 마이데이터 표준 API 규격 규격 기술 설명 데이터 표현 규격 -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API의 메시지 형식은 JSON 방식의 UTF-8 인코딩 사용 JSON - 용량이 적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데이터 객체를 속성,값(Key:Value) 형식으로 표현하는 개방형 표준 메시지 형식 UTF-8 - ASCII 코드를 확장하여 전 세계의 모든 문자 코드를 표현할 수 있는 표준 인코딩 방식으로, 범용성이 높아 호환성이 우수 데이터 통신 규격 TLS (Tr.. 2021. 6. 11. 마이데이터 서비스 I.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개요 - 마이데이터 서비스 : 금융소비자 개인의 금융정보(신용정보)를 통합하고 관리하여 주는 서비스 - 마이데이터 사업자 : 개인의 데이터 주권 확립을 강화하는 권리인 개인신용정보 전송 요구권 행사에 기반하여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 마이데이터 제도적 기반 : 개인신용정보 전송요구권 (신용정보법 제33조의2) II. 마이데이터 서비스 보안환경 -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개인신용정보 이동환경하에서 제공 - 고객의 권리행사에 근거한 안전하고 편리한 데이터 이동이 가능하여 개방형 금융데이터 혁신 환경 조성 III. 마이데이터 중계기관 가. 마이데이터 중계기관의 개요 - 금융회사는 고객의 개인신용정.. 2021. 6. 10. 반응형 웹 디자인 (Responsive Web Design, RWD) I. 사용자 환경에 변화하는 웹페이지, 반응형 웹 디자인 개요 - 하나의 웹사이트에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접속하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화면의 크기가 자동으로 변하도록 만든 웹페이지 접근 기법 - PC용 URL과 모바일용 URL이 동일하기 때문에 검색 포털 등 광고를 통한 사용자 접속을 효율적으로 관리 - 웹 페이지 내용을 수정할 경우, 하나의 페이지만 수정하면 PC와 모바일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반영 II. 반응형 웹 디자인의 요소 및 핵심기술 가. 반응형 웹 디자인의 요소 요소 설명 반응형 웹, 적응형 웹 - 반응형 웹은 모든 스크린 크기에 맞춰 유동적으로 작동하는 방식 - 적응형 웹은 특정 크기에서만 반응하는 방식 플로우 (Flow) - 스크린이 작아 졌을 때 콘텐츠들은 수직 .. 2021. 6. 10. DEX (Decentralized Exchange) I. 중앙화 거래소의 탈중앙화, DEX의 개요 - P2P 방식으로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매수자와 매도자를 연결해주는 거래소 - 덱스 또는 탈중앙화 거래소란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의 중앙화된 거래소와 달리, P2P 방식으로 운영되는 탈중앙화된 분산형 암호화폐 거래소 - 탈중앙화 분산 거래소 작동을 위해서는 아토믹 스왑(Atomic swap) 기능 구현 필요 - 아토믹 스왑 : 중앙화된 암호화폐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서로 다른 코인을 직접 교환하는 방식 II. DEX의 개념도 III. 탈중앙화 거래소와 중앙화 거래소의 비교 구분 탈중앙화 거래소 중앙화 거래소 개념도 지갑 - 개인 지갑 사용 - 거래시 화폐 직접 이동 - 해킹 위험도 낮음 - 해킹 시 피해 수준 적음 - 거래소 지갑 사용 - .. 2021. 6. 9. 오픈스택 프로젝트(OpenStack Project) I.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개요 가.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정의 - 대규모의 확장 가능한 IaaS 클라우드 구현을 위해 가상화된 자원을 통합 제어하고 API와 운영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 - 클라우드 인프라에 필요한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구현한 IaaS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 소스 프로젝트 나.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특징 특징 설명 Rest-based API 제공 - Rest API를 통해 외부 연동 및 관리 편의성 제공 하드웨어 제한 없음 - Commodity 하드웨어를 이용한 저렴한 구축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구축 - Public, Private, Hybrid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2021. 5. 10. DeFi(Decentralized Finance) I. 금융의 탈중앙화, 디파이(De-fi)의 개요 - 암호자산 기반의 금융상품을 분산화된 시스템 위에 설계하고, 금융기관의 역할을 스마트 컨트랙트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한 탈중앙화 분산 금융 -디 파이의 활용 범위 : 가격데이터, 강제청산, 신원인증, 에스크로 등 모든 요소를 탈중앙화하기 위해 활용 가능 II. 디파이의 분류 및 설명 가. 디파이의 분류 나. 디파이의 분류 설명 구분 분류 내용 자산운용 서비스 랜딩 - 디파이 생태계에서는 이용자의 KYC를 철저하게 요구하지 않음 - 대출을 받기 위해선 신용 확인을 위한 담보물 예치 필요(일반적으로 150% 담보물 예치) 스테이킹 - 암호화폐를 블록체인에 예치하여 데이터 검증에 기여 파생상품 - 디파이 생태계의 파생상품은 종류가 다양하지 않음 - .. 2021. 4. 12.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I.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의 개요 -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특정 암호 디지털 자산 -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대체할 수 없는 유일한 항목을 토큰화하는 기술 - 표준 : NFT 토큰 발행 표준 : ERC-721 ERC-721 - ERC-721 기반의 토큰은 토큰 1개마다 가치가 다르다. ERC-20 - ERC-20 기반의 토큰은 토큰 1개당 가치(가격)가 동일하다. II. NFT의 아키텍처 및 주요요소 가. NFT의 아키텍처 나. NFT의 주요요소 구분 주요요소 설명 On-Chain Area ERC-721 - ERC-721 기반의 토큰 - 소유자 정보 - 컨텐츠 핵심 정보 TAG (이미지, 음악, 게임 등 다양한 컨텐츠 정보 TAG) ERC-721 Contract - .. 2021. 3. 21. 오픈뱅킹(Open Banking) I. 오픈뱅킹의 개요 - 핀테크 기업 및 은행들이 표준 방식(API)으로 모든 은행의 자금이체, 조회 기능을 자체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 은행의 송금/결제망을 표준화시키고, 개방해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든 은행의 계좌 조회, 결제, 송금 등이 가능한 금융 서비스 - 은행이 보유한 결제기능 및 고객 데이터를 오픈 API 방식으로 제3자에게 공개하는 것을 통칭 II. 오픈뱅킹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오픈뱅킹의 구성도 나. 오픈뱅킹의 구성요소 구분 요소 및 기술 설명 구성요소 오픈 API - - 핀테크 기업이 직접 응용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프로그램 도구로서, 6개의 서비스 API와 인증/관리 API 제공 - 서비스API: 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 계좌실명조회, 입금이체, 출.. 2021. 3. 16. 데이터 3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가명처리 I. 데이터 경제의 활성화, 데이터 3법의 개요 가. 데이터 규제 3법의 정의 -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 - 개인정보를 익명 처리하여 추가 정보의 결합 없이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처리된 가명정보 개념을 도입 - 가명정보를 전문기관의 승인을 거쳐 상업적 목적을 포함해 과학/연구와 통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포함 - 개인정보보호법이 처리되어야 정보통신망법과 신용정보법 개정안 처리가 가능 나. 데이터 규제 3법의 목적 - 빅데이터 활용,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활용 II. 데이터 규제 3법 개정 내용 가.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 (안재근 의원 대표 발의) 목적 : 디지털 경제 시대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 2021. 2. 17. 소프트웨어 진흥법 I. 소프트웨어 진흥법의 개요 가. 소프트웨어 진흥법의 정의 - 소프트웨어 산업에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소프트웨어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소프트웨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민 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법률 - 2000년 개정 이후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18년만에 2018년 개정 발의 나. 제안이유 - 중앙 및 지역 차원의 소프트웨어 산업 지원의 체계수립 - 소프트웨어 안전 확보 및 국민 대상의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 - 소프트웨어 사업 추진 시 공정한 계약, 요구 명확, 적정 대가 산정하도록 소프트웨어 중신의 경제 사회 변화에 대응 및 지속적 발전 도모 II. 소프트웨어 진흥법 주요 개정 내용 구분 내용 지역별 소프트웨어 산업의 진흥 - 지역 특성 기반 진흥 지원, 및.. 2021. 2. 17.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