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금융의 탈중앙화, 디파이(De-fi)의 개요
- 암호자산 기반의 금융상품을 분산화된 시스템 위에 설계하고, 금융기관의 역할을 스마트 컨트랙트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한 탈중앙화 분산 금융
-디 파이의 활용 범위 : 가격데이터, 강제청산, 신원인증, 에스크로 등 모든 요소를 탈중앙화하기 위해 활용 가능
II. 디파이의 분류 및 설명
가. 디파이의 분류
나. 디파이의 분류 설명
구분 |
분류 |
내용 |
자산운용 서비스 |
랜딩 |
- 디파이 생태계에서는 이용자의 KYC를 철저하게 요구하지 않음 - 대출을 받기 위해선 신용 확인을 위한 담보물 예치 필요(일반적으로 150% 담보물 예치) |
스테이킹 |
- 암호화폐를 블록체인에 예치하여 데이터 검증에 기여 |
|
파생상품 |
- 디파이 생태계의 파생상품은 종류가 다양하지 않음 - 대부분 고배율 레버리지 이용한 마진거래 |
|
자산 예치 및 교환 서비스 |
DEX |
- 탈중앙화 거래소 - 담보대출과 파생상품등 다양한 자산 운용과 관련된 프로젝트 등장으로 DEX 활용도 증가 |
암호화폐 지갑 |
-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해 공개키와 개인키를 저장하고 있는 지갑 |
|
에스크로 서비스 |
- 결제대금을 제3자에게 예치하고 있다가 배송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후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하는 거래안전장치 |
III. 디파이의 단계 및 단계 설명
가. 디파이의 단계
- 해당 분류 체계에서는 수탁, 가격 피드, 강제 청산, 유동성 공급, 이율, 개발 등 총 6가지의 부분을 기준으로 분류
나. 디파이의 단계 설명
단계 |
내용 |
CeFi |
- 중앙화된 금융 시스템, DeFi 반대 의미 |
DeFi 1단계 |
- 유저 개인이 본인의 자산을 관리 - 가격 피드, 강제 청산, 유동성 공급, 이율, 개발 및 운영은 중앙화된 환경에서 제공 |
DeFi 2단계 |
- 유저 개인이 본인의 자산을 관리 - 가격 피드, 강제 청산, 유동성 공급, 이율, 개발 및 운영 중 한가지 부문에서 탈중앙화 환경을 구축한 중앙화된 프로젝트 |
DeFi 3단계 |
- 수탁, 유동성 공급과 더불어 강제 청산 프로세스까지 탈중앙화 프로토콜로 대체 |
DeFi 4단계 |
- 이율과 개발을 제외한 수탁, 강제 청산, 유동성 공급, 가격 피드를 탈중앙화 환경에서 운영 |
DeFi 5단계 |
- 개발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탈중앙화 환경에서 제공 |
DeFi 6단계 |
- 모든 요소의 탈중앙화, 현재까지 탈중앙화 된 디파이 프로젝트는 미존재 |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데이터 서비스 (0) | 2021.06.10 |
---|---|
반응형 웹 디자인 (Responsive Web Design, RWD) (0) | 2021.06.10 |
DEX (Decentralized Exchange) (0) | 2021.06.09 |
오픈스택 프로젝트(OpenStack Project) (0) | 2021.05.10 |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0) | 2021.03.21 |
오픈뱅킹(Open Banking) (0) | 2021.03.16 |
데이터 3법 (0) | 2021.02.17 |
소프트웨어 진흥법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