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오픈스택 프로젝트(OpenStack Project)

by 비트코기 2021. 5. 10.
반응형

I.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개요

가.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정의

   - 대규모의 확장 가능한 IaaS 클라우드 구현을 위해 가상화된 자원을 통합 제어하고  API와 운영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플랫폼

   - 클라우드 인프라에 필요한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들을 종합적으로 구현한 IaaS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 소스 프로젝트

 

나. 오픈스택 프로젝트의 특징

특징 설명
Rest-based API 제공 - Rest API를 통해 외부 연동 및 관리 편의성 제공
하드웨어 제한 없음 - Commodity 하드웨어를 이용한 저렴한 구축
다양한 형태의 클라우드 구축 - Public, Private, Hybrid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가능 플랫폼 
열린 설계와 개발 - 개발언어 파이썬, 아파치 라이센스 2.0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 6개월 단위의 릴리즈 사이클로 개발 진행

 

다. 오픈스택 프로젝트간 연관 관계

Core Project : Swift, Nova, Keystone, Neutron, Glance + Optionla Project 로 구성

II. 오픈소스 프로젝트 EcoSystem

초기 오픈 스택 프로젝트는 Nova, Swift, Glance로 시작되어 릴리즈마다 새로운 프로젝트 추가

 

구분 프로젝트 설명
서버 Nova - 하이퍼바이저 API를 통해 가상머신 생성, 관리 및 삭제
- Xen, KVM, VMWare 지원
- Nova API, 스케줄러, 컴퓨팅, 네트워크, 볼륨으로 구성
Glance - 가상머신 이미지 관리
- 가상 디스크 이미지를 위한 카탈로그와 저장소 제공
- Glance API, Registry로 구성
스토리지 Cinder - 가상머신에 부착되어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블록 스토리지
Swift - 대용량 오브젝트 스토리지
사용자 Horizon - 클라우드 기반 자원들을 접근하고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대시보드) 제공
Keystone - 중압집중식 인증과 서비스 카탈로그 시스템
관리 Ceilometer - 미터링, 모니터링 기능 제공
Heat - 컴포넌트, 오케스트레이션, 오토-스케일링, 오토-프로비저닝
네트워크 Neutron - 가상 네트워크 관리
- SDN(Software Define Network) 지원
DB Trobe - DB as s Servic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Magnum - Container as s Service

 

II. 오픈소스 프로젝트 서비스 프로세스

모듈은 REST API 호출과 메시지 큐를 통해 동작, 조작은 REST API를 통한 외부APP으로 자동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