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124 클라우드 플랫폼 I. 클라우드 플랫폼의 개요 가. 클라우드 플랫폼의 정의 -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필요한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II. 클라우드 플랫폼의 프레임워크 및 기술요소 가. 클라우드 플랫폼의 프레임워크 - Open API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 프레임워크와 인증, 과금,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코어 서비스 프레임워크, 인프라에 관련된 자원 가상화 프레임워크로 구분 나. 클라우드 플랫폼의 기술요소 기술요소 설명 Server Virtualization - 하나의 물리 서버를 여러 개의 서버처럼 사용하는 기술 Network Virtualization - VIF(virtual interface) 로 가상화된 NIC 이 가상머신에서 사용됨. - 플랫폼 .. 2021. 2. 15. 모바일 클라우드 I. 모바일 클라우드의 개요 가. 모바일 클라우드의 정의 -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고 쓴 만큼 지불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지원받는 모델 II. 모바일 클라우드의 개념도 및 기술요소 가. 모바일 클라우드의 개념도 나. 모바일 클라우드의 기술요소 기술요소 설명 동기화 - 메일, 연락처, 캘린더 정보를 클라우드에 보관한 다음 기기간 동기화 푸시 - 이메일이 왔을 때 실시간으로 단말기에 전송 모바일 링크 - QR 코드를 통한 URL 자동연결 모바일 플랫폼 - 안드로이드, 아이폰, 윈도우 모바일 2021. 2. 15.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I.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On Demand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요 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정의 -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고객들에게 수준 높은 확정성을 가진 IT자원들을 서비스로 제공 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 확장성, 사용량 기반 과금, 표준화IP기술, IP기반 접근, 사용자 셀프 서비스 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시 고려사항 - 확장성, 가용성, 신뢰성, 활용률 II.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도 - 클라우드 컴퓨팅에 접속한 사용자는 System Management의 통제 아래 Provisioning tool이 자동 생성한 IT자원을 공급받는 개념 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Use.. 2021. 2. 15. LOD(Linked Open Data) I. 시멘틱웹의 실현 방법, LOD의 개요 가. LOD(Linked Open Data)의 정의 - 사람의 이해와 활용을 전제한 문서 중심의 웹을 기계도 또한 사람처럼 이해하고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 구축하는 기술 -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하고, 각 URI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메틱 웹의 모형 나. LOD의 4가지 원칙 원 칙 설 명 URI 사용 - 개별 문서에 존재하는 개별 객체에 각각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부여 HTTP프로토콜 사용 -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요청과 응답을 HTTP를 활용 RDF, SPARQL 사용 -.. 2021. 2. 15. 오픈데이터(Open Data) I. 공공정보 민간개방 선순환 생태계조성, 오픈데이터의 개요 가. 오픈데이터(Open Data)의 정의 - 목적을 불문하고 누구나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근 및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 나. 오픈데이터의 특징 - 자유로운 접근, 재사용 및 재배포, 기계 판독 가능, 광범위한 영역 II.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 및 단계별 추진 분야 가.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 - 오픈데이터의 실질적인 수준과 능력은 실행력에 의해 좌우 나.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의 단계별 추진 분야 단계구분 해당분야 세부내용 준비도 정부 - 공공데이터 오픈을 위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노력 창업 및 산업 - 오픈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또는 기술 교육을 위한 노력 - 오픈데이터 기반 혁신문화 확산을 위한 경진대회 개최 시민.. 2021. 2. 15.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I. 데이터 웹을 위한 방법 링크드데이터의 개요 가.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의 정의 -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발 URI로 식별하고, 각 URI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모델 나. 링크드데이터 특징 - URI 부여, 부가가치 창출, 데이터의 매쉬업, 재사용성 향상, 중복성 감소, 네트워크화 다. 링크드데이터 구축원칙 - URI 사용, HTTP URI 사용, RDF 사용, 링크 정보의 부여 II. 링크드데이터 계층도 및 개발절차 가. 링크드데이터 계층도 나. 링크드데이터 개발절차 준비단계 현황조사à구축대상선정à계획수립à실행계획à원천데이터준비à원천데이터백업 구축 및 발행단계 명세화à용어설계à온톨로지 설계à데이터변환(RDF화)à저장 및 발행à등록 2021. 2. 15. 시멘틱웹(Semantic Web) I. 의미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멘틱웹의 개요 가. 시멘틱웹(Semantic Web)의 정의 -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의 의미와 관계를 RDF, 온톨로지 기반으로 표현하여 기계가 의미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웹 패러다임 II. 시멘틱웹의 계층구조 및 계층별 설명 가. 시멘틱웹의 계층구조 나. 시멘틱웹의 계층별 설명 계층 설명 Proof/Trust - 정보의 신뢰성 부여 Logic -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추론 SPARQL - RDF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언어 OWL - 온톨로지를 표현하기 위해 스키마와 구문 구조 등을 정의한 온톨로지 언어 RDFS - RDF에 나타나는 Object간의 관계를 기술 RIF - Rule Interchange Format. 공유를 위한 규칙을 제.. 2021. 2. 15.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I. RDF그래프 기반 시맨틱 질의어, SPARQL의 개요 가.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의 정의 - 어플리케이션 분산 RDF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교하고 복잡한 질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W3C에서 만든 시맨틱웹에서의 RDF 질의 언어 나. SPARQL의 특징 - URI 사용, 웹의 분산화, 그래프 패턴 질의 II. SPARQL의 구조 및 구성요소 가. SPARQL의 구조 나. SPARQL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트리플 저장소 - 트리플(주어/술어/목적어)을 저장하며, 무언가를 기술하면서 원하는 만큼 높이 트리플을 쌓아둘 수 있다. SPARQL Endpoint - 일종의 웹 상에서 API와 같은 개념으로 데이터를 직접 가지고 있지 않아도 서비스 제공자.. 2021. 2. 15. 토픽맵(Topic Map) I. 시멘틱 웹 구현을 위한 지식표현 방법론, 토픽맵의 개요 가. 토픽맵(Topic Map)의 정의 - 정보를 상호 연관성에 따라 연결, 조직하여 지식 구조를 일종의 맵과 같이 표현한 ISO 13250 나. 토픽맵의 특징 - 대량의 정보분류, 의미론적 연관검색, 정보 세계의 GPS, 토픽과 정보자원 연관의 추상구조 II. 토픽맵의 구조 및 구성요소 가. 토픽맵의 구조 - 토픽맵은 지식층과 정보층의 이중구조로 구성, 지식층은 정보 리소스 위에 고축하는 지식의 구조 나. 토픽맵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Topic - 지식층의 지식구조 중 특정 주제를 나타냄 Association - Topic(주제)들간 연관 관계를 나타냄 Occurrence - 정보층 내 정보 리소스와 지식층 상호 연결되는 통로 역할 III.. 2021. 2. 15. 택소노미(Taxonomy) I. 자료 분류법, 택소노미의 개요 가. 택소노미(Taxonomy)의 정의 - 전문가가 자료를 학계나 공인되어 결정된 체계에 따라 트리형의 위계적 구조(택소노미 스키마)로 분류하여 포탈이나 웹 사이트에서 활용하는 카테고리 구조나 사이트 맵 - 분류하다 ‘tassein’과 법, 과학이라는 ‘nomos’의 합성어 나. 택소노미의 한계 - 계층구조 또는 트리 구조의 전체를 파악하고 있지 못하면 조금만 복잡한 트리 라도 어디 있는지 탐색을 통해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 - 하나의 정보가 두 가지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할 때 어떻게 처리할 지의 난감 2021. 2. 15.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