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오픈데이터(Open Data)

by 비트코기 2021. 2. 15.
반응형

I. 공공정보 민간개방 선순환 생태계조성, 오픈데이터의 개요

가. 오픈데이터(Open Data)의 정의

   - 목적을 불문하고 누구나 어디서나 자유롭게 접근 및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

나. 오픈데이터의 특징

   - 자유로운 접근, 재사용 및 재배포, 기계 판독 가능, 광범위한 영역


II.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 및 단계별 추진 분야

가.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

- 오픈데이터의 실질적인 수준과 능력은 실행력에 의해 좌우

나. 오픈데이터의 정책 발전 모델의 단계별 추진 분야

단계구분

해당분야

세부내용

준비도

정부

- 공공데이터 오픈을 위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노력

창업 및 산업

- 오픈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또는 기술 교육을 위한 노력

- 오픈데이터 기반 혁신문화 확산을 위한 경진대회 개최

시민 및 시민사회

- 정보권리법을 작동하기 위한 국가의 노력 및 시민사회 참여

실행력

혁신분야

- 창업과 비즈니스에 중요하게 사용되는 데이터

사회정책분야

- 사회정책의 계획, 모니터링 등에 활용되고 더 많은 참여와 권한 부여를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재정분야

- 기업 및 정부 회계와 관련된 데이터

영향력

정치, 경제, 사회분야

- 정부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노력

- 정책수립에 소외계층의 참여를 증가시키고 정부서비스 접근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노력


III. 오픈데이터 주요 플랫폼

구분

플랫폼

설명

오픈소스

CKAN

- Open Knowledge Foundation 개발 플랫폼, 40개 국가 활용 중

OGPL

- Open Government Platform 미국, 인도 정부 공동 개발 중

상용 서비스

Socrata

- 클라우드 기반 미

Junar

- 클라우드 기반의 오픈 데이터 플랫폼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플랫폼  (0) 2021.02.15
모바일 클라우드  (0) 2021.02.15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2021.02.15
LOD(Linked Open Data)  (0) 2021.02.15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0) 2021.02.15
시멘틱웹(Semantic Web)  (0) 2021.02.15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0) 2021.02.15
토픽맵(Topic Map)  (0) 2021.02.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