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시멘틱웹의 실현 방법, LOD의 개요
가. LOD(Linked Open Data)의 정의
- 사람의 이해와 활용을 전제한 문서 중심의 웹을 기계도 또한 사람처럼 이해하고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중심의 웹으로 구축하는 기술
-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하고, 각 URI에 링크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메틱 웹의 모형
나. LOD의 4가지 원칙
원 칙 |
설 명 |
URI 사용 |
- 개별 문서에 존재하는 개별 객체에 각각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부여 |
HTTP프로토콜 사용 |
-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요청과 응답을 HTTP를 활용 |
RDF, SPARQL 사용 |
- URI로 정보를 찾았을 때 RDF, SPARQL과 같은 표준을 활용해서 유용한 정보 제공 |
링크 정보의 부여 |
- 보다 발전된 시멘틱 웹을 위해 풍부한 링크 정보를 부여 |
II. LOD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LOD의 구성도
![]() |
- LOD는 시멘틱 웹을 위해 웹 상에서 데이터를 보다 유연한게 연결하기 위한 모형
나. LOD의 구성요소
구 분 |
구성요소 |
설 명 |
하부구조 |
URI |
- 웹상의 정보, 데이터(리소스)의 장소(위치)에 대한 표현법 |
XML |
- 언어를 표현하는 언어 역할인 메타언어의 기능 |
|
RDF |
- 웹 상에서 특정 정보자원을 아주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한 표현방식 - 무엇인가에 대해 SOV(주어, 목적어, 동사)로 설명하며 이를 통해 각 개체에 대한 정보를 기술 |
|
사용언어 |
RDFS |
- RDF의 스키마 정보로 경량의 온톨로지를 표현, 의미를 기술하는 RDF형식의 언어 |
R2RML |
- RDB의 데이터를 RDF 형태로 바꿔주는 언어, W3C에서 기준 제시 |
|
Ontology |
- RDF Schema에 분류와 논리적 추론을 부과하여 기계가 웹의 의미를 해석하는 시멘틱 웹을 완성 |
|
OWL |
- DAML + OIL에서 파생된 Web Ontology 언어 - 속성과 클래스를 기술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의 표현 어휘 제공 |
|
규칙질의 응용 |
SPARQL |
- 온톨로지 질의 언어, RDF 검색을 위한 질의 언어 - 그래프 구조로 되어 있는 RDF에서 정보를 취하기 위한 언어 |
RIF |
- 규칙의 정의와 교환을 위한 계층 |
|
Logic |
- 기존에 정의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추론기능 - 추론을 위한 로직 |
|
Proof/Trust |
- 웹의 정보에 대한 신뢰를 의미 |
III. LOD의 구축절차 및 단계별활동
가. LOD의 구축절차
나. LOD의 단계별활동
구 분 |
절 차 |
설 명 |
분석 |
원시자료 수집 및 분석 |
- LOD 구축 대상이 되는 원시데이터 목록 수집 및 범위 확정 - 원시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분석 |
관련사례 조사 및 분석 |
- 관련 LOD 구축 사례 조사 - LOD 구축 사례에 대한 온톨로지 스키마 분석 |
|
개념 용어 도출 |
- 온톨로지의 어휘로 활용될 용어 도출 및 목적에 따른 분류 |
|
설계 |
온톨로지 설계 |
- 클래스 및 속성과 제약 관계 설계 - 온톨로지 스키마 구축 |
데이터베이스 변화규칙 설계 |
-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 인스턴스에 대한 변화규칙 설계 |
|
구축 |
인스턴스 구축 |
- 변화도구를 활용하여 원시데이터의 변화 - 추가 구축 대상 및 해당정보에 대한 인스턴스 구축 |
인터링킹 |
- 외부 LOD와의 인터링킹(owl:sameAs, rdfs:seeAlso 등) 연계 |
|
온톨로지 명세화 |
- 온톨로지에 대한 명세서 작성 |
|
LOD 발행 |
- 구축된 생물정보를 웹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발행서비스 구축 |
|
서비스 |
응용서비스 개발 |
- 웹을 통해 질의를 수행할 수 있는 SPARQL Endpoint 개발 - 관계 탐색 및 패싯 검색 등 사용자를 위한 관련 서비스 개발 |
활용서비스 개발 |
- 구축된 LOD를 활용한 시범 웹사이트 구축 |
- LOD(Linked Open Data)는 시멘틱 웹 지향형 오픈 데이터 플랫폼의 핵심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blic, Private, Hybrid Cloud (0) | 2021.02.15 |
---|---|
클라우드 플랫폼 (0) | 2021.02.15 |
모바일 클라우드 (0) | 2021.02.15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 2021.02.15 |
오픈데이터(Open Data) (0) | 2021.02.15 |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0) | 2021.02.15 |
시멘틱웹(Semantic Web) (0) | 2021.02.15 |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0)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