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의미 기반 정보 처리 서비스, 시멘틱웹의 개요
가. 시멘틱웹(Semantic Web)의 정의
- 웹 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들의 의미와 관계를 RDF, 온톨로지 기반으로 표현하여 기계가 의미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웹 패러다임
II. 시멘틱웹의 계층구조 및 계층별 설명
가. 시멘틱웹의 계층구조
![]() |
나. 시멘틱웹의 계층별 설명
계층 |
설명 |
Proof/Trust |
- 정보의 신뢰성 부여 |
Logic |
-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추론 |
SPARQL |
- RDF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질의언어 |
OWL |
- 온톨로지를 표현하기 위해 스키마와 구문 구조 등을 정의한 온톨로지 언어 |
RDFS |
- RDF에 나타나는 Object간의 관계를 기술 |
RIF |
- Rule Interchange Format. 공유를 위한 규칙을 제공 |
RDF |
- 자원의 의미(시멘틱) 부여를 위해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설명하는 XML 기반의 언어 |
III. 시멘틱웹의 기술요소
- 자원서술 기술, 지식서술 기술, 통합운영 기술, 메타데이터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 2021.02.15 |
---|---|
LOD(Linked Open Data) (0) | 2021.02.15 |
오픈데이터(Open Data) (0) | 2021.02.15 |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0) | 2021.02.15 |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0) | 2021.02.15 |
토픽맵(Topic Map) (0) | 2021.02.15 |
택소노미(Taxonomy) (0) | 2021.02.15 |
OWL(Ontology Web Language)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