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자료 분류법, 택소노미의 개요
가. 택소노미(Taxonomy)의 정의
- 전문가가 자료를 학계나 공인되어 결정된 체계에 따라 트리형의 위계적 구조(택소노미 스키마)로 분류하여 포탈이나 웹 사이트에서 활용하는 카테고리 구조나 사이트 맵
- 분류하다 ‘tassein’과 법, 과학이라는 ‘nomos’의 합성어
나. 택소노미의 한계
- 계층구조 또는 트리 구조의 전체를 파악하고 있지 못하면 조금만 복잡한 트리 라도 어디 있는지 탐색을 통해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
- 하나의 정보가 두 가지 이상의 카테고리에 속할 때 어떻게 처리할 지의 난감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0) | 2021.02.15 |
---|---|
시멘틱웹(Semantic Web) (0) | 2021.02.15 |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0) | 2021.02.15 |
토픽맵(Topic Map) (0) | 2021.02.15 |
OWL(Ontology Web Language) (0) | 2021.02.14 |
온톨로지(Ontology) (0) | 2021.02.14 |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0) | 2021.02.14 |
에이전트(Agent)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