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웹 상의 메타데이터 구조의 표준, RDF의 개요
가.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의 정의
- 웹 상에서 상호 정보교환을 위해 구조화된 메타 데이터간의 표준화를 위한 XML 기반의 자원서술 구조
나. RDF의 특징
- 구문 독립성, 표현 내용이 간단, 자원표현 모델, 자유로운 확장
II. RDF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내용 |
RDF Data Model |
- 정보자원의 속성과 그 값을 표현하기 위한 개념적, 추상적 모델 - 정보자원, 속성유형, 기술(statements) 등이 있다. |
RDF Syntax |
- 메타 데이터의 작성과 어플리케이션 간 상호 교환을 위한 구체적 구문 - Serialization, Abbreviated Syntax (HTML 내 포함) |
RDF Schema |
- RDF Statements에서 사용되어지는 속성들의 집합 - 웹 상의 정보자원에 대한 기계 해독형 메타데이터 교환 - 공유한 URI 소유 |
SPARQL |
- RDF로 DB에 쿼리를 생성하는 언어 |
III. RDF Data Model의 구성, 구성요소
![]() |
||
![]() |
||
구분 |
내용 |
사례 |
자원(Resource) |
- URL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모든 객체 |
Document1: 홍길동전 |
속성유형(Property) |
- 자원의 식별 가능한 특징, 속성, 관계, 유형 |
Author: 작가는 ~ 이다 |
속성 값(Value) |
- 자원을 표현하는 값 |
John smith: 허균 |
IV. RDF Schema의 개요
가. RDF Schema의 설명
- 속성 및 관계성을 표현하는 RDF 자원의 계층에 대한 정보 집합
- 특정 메타데이터에서 어휘적인 속성 유형의 집합이라 할 수 있는 어휘집을 선언
- 속성 유형의 집합이나 제한 뿐만 아니라 주어진 RDF 기술에 유용한 속성을 정의
- RDF Schema를 식별하기 위해 XML Namespace 메커니즘이 사용되며 URI를 이용하여 RDF Schema를 인간과 기계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기술
- RDF Schema 유형에는 Property, PropertyTypes, InstanceOf, SubTypeOf, Domain, Range등이 존재
나. RDF와 XML
항목 |
XML Schema |
RDF Schema |
구조기술 |
- XML 문서의 구조 기술 |
- 문서 구조에 대한 의미 서술 |
특징 |
- Tree 지양 모델 -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모델 |
- 속성 중심 구조 - 객체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모델 |
사용목적 |
- 문법 해석 |
- 의미를 해석 |
장점 |
- 쉽고 작성이 용이 |
- 플랫폼에 독립적 |
단점 |
- 데이터 내용에 대한 언급이 어려움 |
- 지원 툴(Tool)이 없음 |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0) | 2021.02.15 |
---|---|
시멘틱웹(Semantic Web) (0) | 2021.02.15 |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 (0) | 2021.02.15 |
토픽맵(Topic Map) (0) | 2021.02.15 |
택소노미(Taxonomy) (0) | 2021.02.15 |
OWL(Ontology Web Language) (0) | 2021.02.14 |
온톨로지(Ontology) (0) | 2021.02.14 |
에이전트(Agent) (0) | 2021.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