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시스템버스

by 비트코기 2021. 3. 10.
반응형

주소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I. 컴퓨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기적 통로, 시스템버스의 개요

가. 시스템버스의 정의

   - 중앙처리장치 중심으로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해주는 전기적 통로


II. 기능측면의 시스템버스의 종류

가. 기능측면의 시스템버스 종류 구성도

- 데이터, 제어버스는 CPU와 컴퓨터 간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나 주소버스는 단방향 통신 수행

나. 기능측면의 시스템버스 종류 설명

종류

특징

설명

데이터

버스

- 양방향 통신

-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선들의 집합

주소

버스

- 단방향 통신

- 주소버스 비트 수에 의해 기억장치 용량 결정

- CPU가 주기억장치로 데이터를 Read/Write 동작을 할 때, 해당하는 주기억장치 장소를 지정하는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집합

제어

버스

- 양방향 통신

- 제어선로의 분류

- CPU와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장치 사이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선들의 집합

- 시스템버스는 기능측면 외에 동작이 수행되는 방식에 따라 종류를 세분화할 수 있다.


III. 동작방식 측면의 시스템버스 종류

종류

동작방식

설명

동기식

버스

- 버스 클럭을 기준으로 동작하는 시스템 버스

- 간단한 인터페이스 회로

- 클럭이 긴 버스의 소요시간을 기준으로 사용

- 짧은 시간이 걸리는 버스 동작의 경우에는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다음 주기가 시작될 때까지 대기

- , 대형급 컴퓨터 시스템에 활용

비동기식

버스

- 버스 클럭과 상관없이 버스의 동작이 완료되는 즉시 다음 동작이 진행되는 시스템버스

- 낭비되는 시간이 없음, 회로 복잡

- 소규모 컴퓨터 시스템에 활용

- 비동기식 버스는 구현 난이도가 높은 반면 대기시간이 없는 특징 존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