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763

MC/DC (Modified Condition / Decision Coverage) I. 조건 커버리지보다 강력한, MC/DC의 개념 - 각 개별 조건식이 다른 개별 조건식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체 조건식의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도록 함으로써 조건/결정 커버리지를 향상시킨 테스트 케이스 도출 기법 - 해당 개별조건식이 전체 조건식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조건 조합을 찾아서 커버리지를 테스트하는 방법 II. MC/DC 결정 테이블 작성 및 조건식 테이블 가. MC/DC 결정 테이블 작성 MC/DC 결정 테이블 작성 방법 MC/DC 결정 테이블 순서도 ① 전체 조건식은 최소 1회 수행 - A, B는 개별 조건식 - A and B 는 전체 조건식 ② 모든 개별 조건식은 최소 1회 수행 ③ 개별 조건식은 결과에 독립적으로 영향 나. MC/DC 결정 테이블 개별 조건식 전체 조건식 MC/DC.. 2021. 10. 28.
우선순위 역전(Priority Inversion) I. 실시간 운영체제에서의 스케줄링 문제점, 우선순위 역전의 개요 가. 우선순위역전(Priority Inversion)의 정의 -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에 의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이 임계영역 대기 때문에 블록 되어 수행되지 않는 현상 - 선점형 스케쥴링 방식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이 우선 순위가 낮은 작업에 실행 순서가 역전되는 현상 나. 우선순위역전의 원인 - 스케줄링과 동기화 사이의 상호작용 결과로 발생 - 스케줄링 규칙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쓰레드와 동기화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쓰레드가 서로 다른 경우, 결과적으로 두 쓰레드의 우선 순위가 역전되어 나타남 II. 우선순위역전 발생 시나리오 가. 우선순위 역전 발생 시나리오 - Task 1,2,3이 각각 high, medium, low pr.. 2021. 10. 20.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I.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 DAO의 개요 가. DAO의 정의 -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금을 모으고 투표를 통해 자금을 사용하는 분산화된 조직 나. DAO의 특징 - 커뮤니티 서비스, Treasury, 목표공유, 가치공유 다. DAO 간 차이 - DAO간에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차이가 존재 - Treasury 크기, 멤버수, 목표 II. DAO의 유형 및 유형별 주요서비스 가. DAO의 유형 - 2016년 첫번째 DAO인 이더리움 발전용 DAO "The DAO" 탄생이후 다양한 유형의 DAO 탄생 나. DAO의 유형별 주요서비스 유형 주요서비스 DAO Operating Systems - ARAGON, DaoStack, DaoHaus, COLONY, Syndicate, Or.. 2021. 9. 20.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MVCC, 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I. 데이터 무결성과 트랜잭션 직렬성 보장,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의 정의 - 하나의 트랜잭션에서 데이터에 접근하는 경우 데이터의 다중버전 상태 중 보장되는 버전에 맞는 값을 반환하여 처리하는 동시성제어 기법 II. 데이터의 다중버전 상태 트랜잭션 1 트랜잭션 2 a = 100 start transaction update a = 500 select a a = 100 select a a = 500 commit select a a = 500 - 트랜잭션 1에서 a를 500으로 업데이터 했으나, 트랜잭션 2에서는 여전히 원래 값인 100을 조회, 이는 데이터를 다중버전으로 유지하여 commit전까지 undo 영역에 이전 값을 유지하기 때문에 가능 III.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의 동작절차 가. 다중버전 동시성 제.. 2021. 9. 20.
첨단IT융합 기술의 6T I. 융합(Convergence)의 정의 - 다른 종류의 학제에 기반한 학문이나 지식이 하나로 합하여져 새로운 하나를 창조해 내는 것 - 融合 [명사] 둘 이상의 것을 서로 섞거나 조화시켜 하나로 합함. II. 첨단 IT융합 기술의 6T의 개념도 및 6T설명 가. 첨단 IT융합 기술의 6T 개념도 -첨단 IT융합 기술은 대표적으로 IT, NT, BT, ET, ST, CT 6개로 분류 나. 첨단 IT융합 기술의 6T 설명 6T 설명 IT (Information Technology) - 전기 통신, 방송, 컴퓨팅(정보처리,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통신망 등 사회 기반을 형성하는 유형 및 무형의 기술 분야 NT (Nano Technology) - 10억분의 1미터.. 2021. 9. 8.
QoS Traffic Policing, Traffic Shaping I. 트래픽 대역폭 제한을 통한 QoS 보장, Traffic Policing 가. Traffic Policing 개념 - 미리 정의된 기준을 초과하는 트래픽은 버림으로써 트래픽 대역폭을 제한하는 QoS 기술 나. Traffic Policing 구성도 및 구성요소 Meter - 수신되는 패킷의 유입률(bps) 측정 Drop - 유입률이 약속된 대역폭 이상이면 패킷을 Drop Mark - 유입률이 약속된 대역폭 이하이면, 해당 패킷에 Marking 한후 포워딩 II. 버퍼를 이용한 QoS 보장, Traffic Shaping 가. Traffic Shaping 개념 - 버퍼를 사용하여 목표 속도 이상으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잠시 저장 후 서비스 함으로써 트래픽 대역폭을 제한하는 QoS 기술 나. Traffic S.. 2021. 9. 7.
동형암호 (Homomorphic Encryption, HE) I. 정보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암호기술, 동형암호의 정의 - 평문 공간과 암호문 공간에 정의된 연산을 보존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없이 검색 가능한 No Key 기반의 암호화 기술 - 장점 : 컴퓨터 연산가능, 보안성 우수 - 단점 : 느린속도, 암호문의 큰 크기 특성 서킷 프라이버시 - 연산 진행 시 연산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성질 다중 도약 동형성 - 생성된 암호문이 다른 동형 연산의 입력으로 사용이 가능한 성질 보안성 - 암호환된 형태로 연산이 진행되어 해킹 차단이 가능한 성질 II. 동형암호의 동작원리 및 설명 가. 동형암호의 동작원리 E(m1) + E(m2) = E(m1 + m2) E(m1) * E(m2) = E(m1 * m2) - 평문에 연산을 하여 암호화한 것과 .. 2021. 8. 19.
블록체인 분류 I.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가.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나.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설명 네트워크 기준 설명 파운더 리드 네트워크 (Founder-Led Network) - 초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 파운더 주도 - 소규모 업체 또는 기업 내부 시스템간 연동 조인트 벤처 네트워크 (Joint Venture Network) - 대기업의 그룹사 연동 - 기업이나 협력 기업 연동 등 기업간 협력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컨소시엄 네트워크 (Consortium Network) - 특정 산업분야 또는 서비스 중심 - 대기업 주도에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구조 - 이더리움, 리플 등 비즈니스 에코시스템 (Business Ecosystem) - 여러 산업분야와 연계한 대규모 블록체인 II. .. 2021. 8. 6.
블록체인 트릴레마 (Blockchain Trilemma) I. 블록체인의 세가지 딜레마,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 - 블록체인에서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ncentralization), 보안성(Security)의 세가지 문제들이 서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 II.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도 및 세가지 문제 가.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도 나.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세가지 문제 세가지 문제 설명 확장성 - 사용자 수의 증대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정도 - 블록체인에서는 사용자수의 증가에 따라 거래 건수가 늘어나더라도 무리 없이 전송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능력 보안성 -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권한이 없는 이용자가 이용 할 수 없도록 동작 -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 2021. 8. 1.
IoB (Internet of Behavior) I. IoT 기반의 확장, IoB의 개념 - IoT의 확장으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기술과 행동으로 인해 도출되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인들의 디지털 흔적을 수집 및 활용하는 기술 II. IoB의 프로세스 및 기술요소 가. IoB의 프로세스 - 정보수집을 통해 데이터에 행동 이벤트를 부여하여 정보를 활용하는 프로세스 나. IoB의 기술요소 구분 기술요소 설명 Technology User Experience - 사용자가 총체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경험 Search Experience Optimization - Search Experience Optimization을 통해 경험의 수집 IoT - Internet of Things Sensing을 통한 인지 Computer Vision - 수집 데이터에 대한 .. 2021.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