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블록체인의 세가지 딜레마,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
- 블록체인에서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ncentralization), 보안성(Security)의 세가지 문제들이 서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
II.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도 및 세가지 문제
가.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개념도
나.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세가지 문제
세가지 문제 | 설명 |
확장성 | - 사용자 수의 증대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정도 - 블록체인에서는 사용자수의 증가에 따라 거래 건수가 늘어나더라도 무리 없이 전송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능력 |
보안성 | -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권한이 없는 이용자가 이용 할 수 없도록 동작 -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 보장 |
탈중앙화 | - 신뢰된 제3자를 별도로 두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P2P) 환경에서의 거래 - 중앙집중형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 등 필요 비용 절감 |
III.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사례
사례 | 설명 |
비트코인 | - 높은 탈중앙화와 보안성은 확보, 확장성의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 - 탈중앙화와 보안에 초점을 맞춰 개발 되었으며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트랜잭션 속도에 대한 확장성 문제 발생 |
이더리움 | - 확장성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 (이더리움 플랫폼 위의 디앱상 이루어지는 거래를 1초에 20건 처리) - 확장성 한계 극복을 위해 이더리움 2.0 발표 - 작업증명 방식의 대안으로 지분증명과 샤딩 기술 활용 - 이더리움 2.0이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 할 수 있을지 관심 집중 |
이오스 | -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탈중앙화와 확장성 해결 - 위임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의 특성상 소수의 노드를 통해 합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중앙화 가치 저하 - 소수의 노드가 블록을 생각하기 때문에 보안성 저하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aS (Mobility as a Service) (0) | 2022.02.20 |
---|---|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0) | 2021.09.20 |
첨단IT융합 기술의 6T (2) | 2021.09.08 |
블록체인 분류 (0) | 2021.08.06 |
IoB (Internet of Behavior) (0) | 2021.07.29 |
마이데이터 표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0) | 2021.06.11 |
마이데이터 서비스 (0) | 2021.06.10 |
반응형 웹 디자인 (Responsive Web Design, RWD) (0)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