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가.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나. 네트워크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설명
네트워크 기준 | 설명 |
파운더 리드 네트워크 (Founder-Led Network) |
- 초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 - 파운더 주도 - 소규모 업체 또는 기업 내부 시스템간 연동 |
조인트 벤처 네트워크 (Joint Venture Network) |
- 대기업의 그룹사 연동 - 기업이나 협력 기업 연동 등 기업간 협력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
컨소시엄 네트워크 (Consortium Network) |
- 특정 산업분야 또는 서비스 중심 - 대기업 주도에 중소기업이 참여하는 구조 - 이더리움, 리플 등 |
비즈니스 에코시스템 (Business Ecosystem) |
- 여러 산업분야와 연계한 대규모 블록체인 |
II. 프로젝트 규모 기준 블록체인 분류
가. 프로젝트 규모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나. 프로젝트 규모 기준의 블록체인 분류 설명
프로젝트 규모 | 설명 |
컨소시엄 기반 네트워크 (Consortium Based Network) |
- 대기업 주도의 서비스 - 타 대기업 또는 중소기업을 컨소시엄으로 묶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공동 사용 - 대기업 또는 정부주도 프로젝트 |
파운더 감독 기반 네트워크 (Founder Directed Network) |
- 하나의 파운더 구조 - 스타트업 또는 중소기업들이 자체적인 내/외부 블록체인 구성 |
커뮤니티 기반 네트워크 (Community Based Network) |
- 업계 표준기관, 정부, 네트워크 서비스를 직적 제공하는 대기업 주도 - 파운더는 없지만 참여자간 합의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소유자가 주도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옵스 (DataOps) (0) | 2022.03.10 |
---|---|
MaaS (Mobility as a Service) (0) | 2022.02.20 |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0) | 2021.09.20 |
첨단IT융합 기술의 6T (2) | 2021.09.08 |
블록체인 트릴레마 (Blockchain Trilemma) (0) | 2021.08.01 |
IoB (Internet of Behavior) (0) | 2021.07.29 |
마이데이터 표준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0) | 2021.06.11 |
마이데이터 서비스 (0)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