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메모리 할당기법에 의해 발생하는 메모리 단편화의 개요
가. 메모리 단편화의 정의
- 메모리 상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되는 부분적인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
II. 메모리 단편화의 원인
종류 |
구분 |
원인 |
외부 단편화 |
개념도 |
|
설명 |
- 가변분할, 페이징 기법, 빈 공간이나 적재 불가능한 공간à외부단편화 영역 - 발생원인: 메모리 할당기법으로 가변분할 또는 세그먼트 기법 사용 |
|
내부 단편화 |
개념도 |
|
설명 |
- 고정분할, 세그먼트 기법, 고정된 분할영역 내 미사용 공간à내부단편화 영역 - 발생원인: 메모리 할당 기법으로써 고정분할 또는 페이징 기법 사용 |
III. 메모리 단편화 해결방안
종류 |
구분 |
해결방안 |
외부 단편화 (버디 시스템) |
개념도 |
|
설명 |
- 요청한 프로그램의 크기에 맞게 할당하기 위해 2로 분할하여 할당 |
|
내부 단편화 (Slabs Allocator) |
개념도 |
|
설명 |
- 페이지 프레임을 할당 받아 공간을 작은 크기로 분할하고 메모리 요청 시 작은 크기로 메모리를 할당/해제하는 동적 메모리 관리 기법 (4k) |
- 통합, 압축, 페이징
반응형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시메모리 사상 (0) | 2021.03.12 |
---|---|
캐시메모리의 쓰기정책(Write Policy) (0) | 2021.03.12 |
캐시메모리(Cache Memory) (0) | 2021.03.12 |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0) | 2021.03.12 |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0) | 2021.03.12 |
메모리 관리기법 (2) | 2021.03.12 |
메모리 계층구조 (0) | 2021.03.12 |
CPU 스케줄링(CPU Scheduling)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