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메모리 관리기법의 개요
가. 메모리 관리기법의 정의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메모리 사용자 영역을 여러 프로세스가 사용하기위해 운영체제에 의해 동적으로 메모리를 세분화하는 기법
나. 메모리 관리기법의 종류
- 반입정책, 배치정책, 교체정책
II. 메모리 관리기법의 할당정책
기법 |
할당정책 |
설명 |
연속 메모리 할당방식 |
고정분할 |
고정된 크기의 단위로 메모리 할당, 내부 단편화 발생 가능 |
가변분할 |
할당 단위를 요청마다 다른 크기로 할당, 외부 단편화 발생 |
|
버디시스템 |
- 자원 할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 - 큰 버퍼들을 반복적으로 이등분하여 작은 버퍼 생성 - 버퍼가 나뉘어질 때 각각을 서로의 버디라 부름 - 요청된 메모리의 크기가 작아 전체를 할당하지 않을 경우 블록은 2U-1의 크기를 갖는 2개의 버디로 나뉘어진다. |
|
분산 메모리 할당방식 |
페이징 기법 |
|
- 메모리를 고정된 작은 크기의 프레임으로 미리 나누는 방식 - 매핑 테이블, 외부 단편화 해결 가능, 내부 단편화 발생 - 프레임 크기에 따라 단편화 정도와 관리 오버헤드 간의 트레이드 오프 존재 - 프로그램의 실제 주소와 주기억장치의 주소가 다름 |
||
세그먼트 기법 |
||
- 주기억장치는 각 세그먼트가 적재될 때마다 필요한 대로 분할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Segment 분할 - 매핑 테이블, 외부 단편화는 있으나 내부 단편화는 없음 -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 동적 기억장치 할당 기법 - Page 기법과 같이 Direct, Associative, Direct/Associative Mapping 방식 사용가능 |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시메모리(Cache Memory) (0) | 2021.03.12 |
---|---|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0) | 2021.03.12 |
단편화 (0) | 2021.03.12 |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0) | 2021.03.12 |
메모리 계층구조 (0) | 2021.03.12 |
CPU 스케줄링(CPU Scheduling) (0) | 2021.03.12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Multiple Processor System) (0) | 2021.03.12 |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