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메모리 인터리빙의 개요
가.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의 정의
- 메모리의 접근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메모리를 복수개의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에 연속적인 주소를 부여하여 동시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기법
II. 메모리 인터리빙의 활용방식
방식 |
개념도 |
설명 |
상위 인터리빙 |
- 메모리 주소의 상위 비트들에 의해 모듈이 선택되고 하위비트들은 각 모듈내의 기억장소의 주소를 나타낸다. - 장점 : 한 모듈에서 에러 발생시 해당 모듈만 영향 - 단점 : 동시 접근을 통한 성능향상 어려움 |
|
하위 인터리빙 |
- 하위 비트들에 의해 모듈이 선택, 상위 비트들은 각 모듈내 주소 - 장점 : 다수의 모듈 동시 동작 가능 - 단점 : 새로운 메모리 뱅크 추가 시 전체에 영향 |
|
혼합 인터리빙 |
- 기억장치 모듈을 뱅크로 그룹화 - 하위 인터리빙 방식의 단점인 결함 허용도 문제와 상위 인터리빙의 단점인 동시 액세스가 어려운 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체 모듈들을 몇 개 그룹으로 나눔 - 그룹 선택 시 상위 인터리빙 - 그룹 내 모듈간 하위 인터리빙 활용 |
III. 메모리 인터리빙의 엑세스 활용방식
엑세스 방식 |
설명 |
C-엑세스 방식 |
- 주소들이 프로세스 기억장치간 버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기억장치 모듈에 도착 |
S-엑세스 방식 |
- 모든 기억장치 모듈들에게 읽기 동작들이 동시에 시작되도록 하고 읽혀진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전송 |
반응형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장치 할당 (0) | 2021.03.12 |
---|---|
캐시메모리 사상 (0) | 2021.03.12 |
캐시메모리의 쓰기정책(Write Policy) (0) | 2021.03.12 |
캐시메모리(Cache Memory) (0) | 2021.03.12 |
단편화 (0) | 2021.03.12 |
메모리 장치(Memory Device) (0) | 2021.03.12 |
메모리 관리기법 (2) | 2021.03.12 |
메모리 계층구조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