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메모리로 데이터 전송, 캐시메모리 사상의 개요
가. 캐시메모리 사상의 목적
- 캐시의 용량이 주기억장치 용량보다 작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의 일부분만 캐시에 적재 가능
- 제한된 캐시 용량으로 최고의 적중률을 얻을 수 있는 방법 필요
II. 캐시메모리 사상 기법의 종류
사상기법 |
구분 |
설명 |
연관사상 |
개념도 |
|
설명 |
- 빠르고 융통적임 (메모리 워드, 번지와 데이터를 함께 저장) - 메모리의 각 블록이 캐시의 어느 라인에나 적재 가능 - Cache hit Ratio는 높아지나 회로가 복잡해지고 처리속도가 느림 |
|
직접사상 |
개념도 |
|
설명 |
- 연관사상보다 항상 빠르지만 특정 상황에서 비효율 - 메모리 참조 요청 시 CPU 번지의 태그 필드와 캐시의 태그 필드 비교 - 메모리 각 블록이 캐시 특정 라인으로 적재 - 회로 구현이 용이, 간단, 처리속도가 빠름 - Hit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Cache Miss Ratio가 큼 |
|
집합연관 사상 |
개념도 |
|
설명 |
- 직접 사상과 연관 사상의 장점을 결합 - 캐시와 메모리의 대응이 N:1 (N-way Set Associative) |
반응형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화(Virtualization) (0) | 2021.03.12 |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0) | 2021.03.12 |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 (0) | 2021.03.12 |
기억장치 할당 (0) | 2021.03.12 |
캐시메모리의 쓰기정책(Write Policy) (0) | 2021.03.12 |
캐시메모리(Cache Memory) (0) | 2021.03.12 |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0) | 2021.03.12 |
단편화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