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물리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효율적 자원 이용, 가상기억장치의 개요
가. 가상메모리(Virtual Memory)의 정의
- 사용자에게 주기억장치보다 더 큰 용량의 가상기억공간을 제공하는 기억장치 관리 기법
나. 가상메모리의 특징
- Isolation, Volume, Multi Programming
II. 가상메모리 관리기법 및 주소사상기법
가. 가상메모리 관리기법(호배할교)
관리기법 |
설명 |
할당정책 |
- 각 프로세스에게 할당할 메모리의 양을 관리 |
호출정책 |
- 언제 어느 항목들을 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가져올 것인지 결정 |
배치정책 |
- 프로그램의 한 블록을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배치할 것인가 관리 |
교체정책 |
- 주기억장치에 적재할 공간이 없을 경우 무엇과 교체 할 것인가에 대한 관리 |
나. 가상메모리 주소사상기법
구분 |
개념도 |
설명 |
Direct Mapping |
|
- 프로세스의 가상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페이지에 대한 항목이 페이지 사상표에 있음 |
Associative Mapping |
|
- 고속의 연관기억장치를 이용하여 페이지 사상표 전체를 넣는 방법으로서 가장 빠르고 융통성 있는 사상구조 |
Direct/ Associative Mapping |
|
- 한 프로세스의 전체 페이지 사상표의 일부분만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연관기억장치 이용 |
반응형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Docker) (0) | 2021.03.12 |
---|---|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0) | 2021.03.12 |
가상화(Virtualization) (0) | 2021.03.12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0) | 2021.03.12 |
기억장치 할당 (0) | 2021.03.12 |
캐시메모리 사상 (0) | 2021.03.12 |
캐시메모리의 쓰기정책(Write Policy) (0) | 2021.03.12 |
캐시메모리(Cache Memory)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