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시뮬레이션을 통한 문제해결, 디지털 트윈의 개요
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정의
- 센서 및 액츄에이터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기반 모델링을 통해 물리적인 사물을 가상공간에 동일하게 표현하여 모니터링,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나. 디지털 트윈의 특징
- 디지털 스레드, 실시간성, 디지털 정보조합, 가상 시뮬레이션
II. 디지털 트윈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
가. 디지털 트윈의 개념도
![]() |
- 현실사물과 가상 사물 간의 통합기술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실시간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여, 물리적인 프로토타입 없이 다양한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가능
나. 디지털 트윈의 구성요소
구분 |
세부기술 |
설명 |
현실세계 정보 수집 측면 |
Sensor |
- 센서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 수집 |
Actuator |
- 절삭/가공에 의한 마모도 및 공정 데이터 수집 |
|
Controller |
- WPAN, PLC, Modbus, RS-232, 485 등 사용가능 |
|
가상세계 구성 측면 |
디지털 스레드 |
- 물리 자산의 디지털화 |
가상공간 자산 |
- 디지털 자산에 대한 설계, 테스트, 피드백 가능 |
|
3D 모델링 |
- 전체 공정의 디지털화 가능 |
|
현실/가상 통합 측면 |
VR/AR 연계 |
-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의 연결 역할 |
양방향 전달 |
- 제품에 대한 가상세계에서 다양한 테스트 가능 |
|
공정제어 |
- 공정의 시뮬레이션 가능 |
- 물리적 환경의 디지털화를 통해 현실 세계의 특징을 최대한 반영한 가상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
III. 디지털 트윈의 활용사례
-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 항공기 엔진, 선박 모델링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3법 (0) | 2021.02.17 |
---|---|
소프트웨어 진흥법 (0) | 2021.02.17 |
산업제어시스템(Industrial Control System) (0) | 2021.02.17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0) | 2021.02.17 |
CPS(Cyber Physical System) (0) | 2021.02.17 |
스마트 팩토리 (0) | 2021.02.17 |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vesting) (0) | 2021.02.17 |
ESS(Energy Storage System)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