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34

공유경제(Sharing Economy) 공유경제 플랫폼, 유휴자원 I. 유휴자원의 효율적 활용, 공유경제의 개요 가. 공유경제(Sharing Economy)의 정의 - 유휴자원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거래 참여자간 상호 편익과 적정 이윤을 얻는 경제 활동 나. 공유경제의 필요성 구분 설명 자원절약 불필요한 소비를 막아 자원절약 지역경제 활성화 공유경제를 통해 발생한 수익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II.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및 모델 설명 가.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 공유경제로 인하여 다양한 플랫폼이 구축되고 수익모델 발전 나. 공유경제의 비즈니스 모델 설명 구성요소 설명 온라인 플랫폼 개인간 거래 활성화 및 적정 규모의 시장 확보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 상호 당사자간의 신뢰 거래 당사자 간 .. 2021. 2. 13.
O2O(Online to Offline), O4O(Online for Offline) I. O2O, O4O의 개요 가. O2O의 정의 - ICT 기술을 기반으로 온라인을 통해 고객을 유치하여 오프라인으로 소비자를 유도하는 방식 나. O4O의 정의 - 온라인 기업이 가지고 있는 고객 정보와 자산을 기반으로 오프라인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해 새로운 매출을 만들어내는 플랫폼 II. O2O 가. O2O의 개념도 나. O2O의 기술요소 - 비콘, 지오펜싱, Wi-Fi, BLE, LBS, NFC III. O4O 가. O4O의 전환과정 나. O4O의 기술요소 - 인식기술 : RFID, NFC, 이미지인식, 얼굴인식 - 위치기반기술 : 지오펜싱, 비콘 - 분석기술 : 빅데이터, 인공지능, 매장트래킹 2021. 2. 13.
옴니채널 단일채널, 멀티채널, 크로스채널, 옴니채널 I. 옴니채널의 개요 가. 옴니채널의 정의 - 소비자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 나. 옴니채널의 확산배경 - 쇼핑 트렌드 변화, 오프라인 매출저하, 실시간 가격비교 II. 유통채널의 유형 및 옴니채널 구축 필요기술 가. 유통채널의 유형 채널유형 설명 채널고객과의 접점 단일채널 (Single Channel) -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매장 중 하나의 채널만 운영 -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점포만 존재하는 패턴 멀티채널 (multi-channel) -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매장, 소셜커머스 등이 구축되었지만 각각 별개의 채널로 운영 - 각 채널의 독립적 운용 - 온/오프의 경쟁적 관계 크로스채널 (Cr.. 2021. 2. 13.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I. GDPR개요 가.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의 정의 - EU 회원국 간 자유로운 개인정보 이동과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유럽연합이 제정하고 2018년 5월25일 본격 시행된 통합 개인정보 보호 규정으로, EU 회원국 및 EU 시민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정보보호 일반법 II. GDPR의 체계 및 대응전략 가. GDPR의 체계 전문(Recital) 173개 조항, 본문(Chapter) 11장 99개 조항(Article) 으로 체계 구성 본문 11장 99개 조항 제 1장 일반 규정 (General Provisions) 제 2장 원칙 (Principles) 제 3장 정보주체의 권리(Rights of the Data Subject) 제 4장 컨트롤러와 .. 2021. 2. 13.
개인정보보호법 I.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요 가. 개인정보보호법의 정의 - 개인정보의 수집, 유출, 오용, 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 등을 보호함으로써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증진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 법률 나. 개인정보보호법의 목적 -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 II. 개인정보보호법의 구성도 및 주요조항 가. 개인정보보호법의 구성도 나. 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조항 2021. 2. 13.
COSO I. COSO 프레임워크의 개요 가. COSO의 정의 - 미국 내 AICPA등 재무, 회계 전문 단체의 연합으로 조직의 재무, 운영, 컴플라이언스에 관계된 내부 통제의 효과성을 보장하는 프레임워크 나. COSO의 종류 종류 설명 COSO Internal Control Framework COSO 제안 내부통제의 개념적 구조는 국제적으로 검증된 강력하면서도 효과적인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방법론 COSO ERM Framework 전사적 위험관리는 전략수립을 비롯한 기업 전반에 적용이 되며, 조직에 영향을 미칠 잠재적 사건을 인식, 조직의 위험 선호도 내에서 위험을 관리하고, 조직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합리적인 확신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스 II. COSO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 가. COSO 프레임워크 .. 2021. 2. 13.
IT 컴플라이언스 I. IT 컴플라이언스의 개요 가. IT 컴플라이언스의 정의 - 기업의 리스크 관리 및 투명성 강화를 위해 IT 관점에서 외부의 규제 및 법규를 준수하는 활동 나. IT 컴플라이언스의 특징 - 업무 프로세스 재정비와 IT솔루션 도입, 단기적 폭발적 수요 발생, 방대한 범위 II. IT 컴플라이언스의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 가. IT 컴플라이언스의 프레임워크 나. IT 컴플라이언스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IT 컴플라이언스 조직 준법감시인 법규준수, 리스크 관리 등 내부 통제 체계 감시 관리 준법감시부처 법규 준수와 관련된 점검 절차 및 준법 절차 수립/이행점검 윤리강령 임직원이 업무 수행 시에 지켜야 할 행동규범 준법감시인 내부 통제 정책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절차와 준수, 위기대응 지원시스템 RD.. 2021. 2. 13.
COBIT(Control Objective for Information and related Technology) 5.0 I. COBIT 5의 개요 가. COBIT(Control Objective for Information and related Technology) 5의 정의 - 조직이 IT거버넌스와 관리를 위한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지원하는 COBIT 4.1을 계승하고, Risk IT와 Val IT를 통합하는 종합적인 프레임워크 나. COBIT 5의 특징 - 통합 프레임워크, 타 표준 연계 강화, 추가적인 가이드, One Source Multi Use 다. COBIT 5의 5원칙 - 1)이해관계자의 Needs 충족, 2)조직의 모든 부문 포괄, 3)하나의 통합적인 프레임워크 적용 - 4)총체적인 접근방법의 활용, 5)거버넌스와 관리의 분리 II. COBIT 5의 프로세스 및 도메인 가. COBIT 5의 프로세스.. 2021. 2. 13.
IT 거버넌스 I. IT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 및 책임 정의, IT 거버넌스의 개요 가. IT 거버넌스의 정의 - 기업의 전략과 목표에 부합되도록 IT에 대한 의사 결정 권한과 책임구조를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자원과 프로세스를 관리/통제하는 체계 나. IT 거버넌스의 목적 - 비즈니스와 IT간 전략적 연계, 감사 및 관리 절차 개선 및 의사결정 기능 강화 II. IT 거버넌스의 핵심요소 및 영역 가. IT 거버넌스의 핵심요소 - 리더십과 조직 구조 및 의사결정 권한, IT 거버넌스 프로세스, 최적 기술 도입 및 운영 나. IT 거버넌스의 5가지 도메인 프레임워크 III. IT 거버넌스의 프레임워크 유형 설명 구성요소 IT거버넌스 모델 가트너에서 제시한 IT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모델 원칙, 메커니즘, 프로세스 도메인 프레.. 2021. 2. 13.
EA 참조모델 I. 표준 분류체계 제시 메타모델, EA 참조모델의 개요 가. EA 참조모델 정의 - 기관간 협업, 상호운영을 위해 아키텍처의 공통 어휘, 표준 분류 체계를 제시한 메타모델 나. EA 참조모델의 관계도 II. EA 참조모델 유형 유형 개념도 설명 성과 참조모델 - 주요 정보화기획 및 사업 성과에 대한 기여도 등을 평가하기 위한 성과 참조 모형 업무 참조모델 - 업무에 대한 공통적인 명칭 및 분류 기준으로 조직이 아닌 기능 중심으로 접근하고, 다른 참조모델 수립의 기준 자료로 활용되는 업무 참조 모형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모델 - 업무를 지원하는 IT 서비스 요소들을 분류한 것으로, 업무를 지원하는 응용서비스를 컴포넌트 단위로 정의한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모형 데이터 참조모델 - 업무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유.. 2021.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