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네트워크68

호스트 파일(Host File) I. 호스트 이름과 IP주소 보관 파일, 호스트 파일의 개요 가. 호스트 파일(Host File)의 정의 - IP주소에 호스트의 이름 분석 주소를 알려주기 위해 특정파일(hosts)에 호스트이름과 IP주소를 보관한 파일 나. 호스트 파일의 특징 - 네트워크 관리자는 관리 대상이 되는 모든 컴퓨터의 호스트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 이 정보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복사하도록 함으로 정보의 일관성 유지 다. 호스트 파일의 역할 - DNS에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대응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을 시 활용 - DNS가 직접 호스트 파일을 참조, 응답속도 빠름 II. 호스트 파일의 장점 및 단점 가. 호스트 파일의 장점 장점 설명 인터넷 속도 향상 접속할 사이트 정확한 주소 입력 시, Domain Nam.. 2021. 2. 20.
3단계 주소체계 I. Domain Name, IP Address, Physical Address 3단계 주소체계의 개요 가. 3단계 주소체계의 정의 - 인터넷에 연결된 여러 망들의 구성 요소, 특정 호스트를 식별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식별자 체계 나. 3단계 주소 식별자 정의 및 특징 식별자 구분 내용 호스트 이름 (Host/Domain Name) 정의 사용자 관점의 이름 체계, 도메인 네임 서버(DNS) 사용 특징 TCP/IP 사용자 호스트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식별자 사용자 관점에서 알파벳과 숫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 이해하기 쉬운 구조 인터넷 주소 (Internet Address) 정의 일반적인 IP 주소, 인터넷에서 유일하게 식별 될 수 있도록 하는 주소 특징 인터넷 상에서 라우팅을.. 2021. 2. 20.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IPv4, IPv6, NIC I. 네트워크 주소 식별체계, 네트워크 IP주소의 개요 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의 정의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각 장치를 구별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 모음의 IP계층에서 사용하는 식별가능 한 주소 나. IP 주소의 특징 - 유일성 : IP 주소는 인터넷에 오직 한 개의 연결만을 정의 중복 불가능 다. IP 주소 유형 유형 설명 IPv4 32비트 이진수를 각각 8비트씩 네 부분으로 나누고, 점(.)으로 구분하여 10진수 표기 IPv6 이진수를 각각 16비트씩 여덟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콜론(:)으로 구분하여 16진수 표기 NIC 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할당 및 관리 II. IPv4의 주소 클래스.. 2021. 2. 20.
TCP/IP Defacto, 4계층 I.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TCP/IP의 개요 가. TCP/IP의 정의 -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나. TCP/IP의 특징 특징 내용 연결지향 TCP를 사용하는 두 응용 간 연결을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상대방 컴퓨터와 사전에 세션 수립 (TCP 3-way-Handshake) 신뢰성 재전송 타이머, Checksum, 중복 데이터 검출, 흐름제어 프로토콜 조합 TCP나 IP만을 일컫는 말이 아님, TCP와 IP가 가장 중요 패킷 통신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해서 전송, 패킷 단위 통신 방법 .. 2021. 2. 18.
OSI 7 레이어 요약 2021. 2. 18.
OSI 7 Layer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7 계층, 캡슐화, 역캡슐화 I. 상호 연결성을 위한 표준화 모델, OSI 7 Layer의 개요 가. OSI 7 Layer (Open System Interconnection)의 정의 -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접속을 위한 참조 모델로 이기종 시스템간 연결 및 정보교환을 위한 ISO 통신 표준화 규격 - 여러 정보통신 장비의 호환성을 목적으로 ISO 단체에서 1984년 OSI 참조모델 발표 나. OSI 7 Layer의 특징 - 계층 구조, 캡슐화, 역 캡슐화, 통합 표준, 참조 모델 II. OSI 7 Layer의 구조 및 계층별 기능 가. OSI 7 Layer의 구조 나. OSI 7 Layer의 계층별 기능 계층 특징 데이터 주소 장비 프로토콜 7 응용 Application Software API제공.. 2021. 2. 18.
이더넷(Ehternet) IEEE 802.3 I. 이더넷의 개요 가. 이더넷(Ehternet)의 정의 - OSI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와 배선,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MAC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하고 있는 IEEE 802.3 규약 나. 이더넷의 특징 특징 내용 특징 내용 연결모드 비연결성 모드 매체공유 비동기식 직렬 통신 전송단위 이더넷 프레임 매체접근방식 모든 노드가 동일한 전송매체공유 전송방식 10Mbps 이상 부호화 방식 Manchester Encoding 사용 II. 이더넷 프레임 구조 및 주소지정 가. 이더넷 프레임 구조 Preamble (서문) 0과 1이 반복되는 7바이트가 들어있는 802.3 프레임의 첫 번째 필드 시스템에 들어오는 프레임을 수신하게 하고 입력 타이밍을 맞춤 시작프레임식별자 (SFD, Sta.. 2021. 2. 18.
PCM (Pulse Code Modulation) I.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 PCM의 개요 가. PCM (Pulse Code Modulation)의 정의 -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 양자화 기반 2진 부호화 디지털 변조 방식 II. PCM의 수행절차 및 단계별 활동 가. PCM의 수행절차 - 표본화->양자화->부호화 과정을 거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 나. PCM의 단계별 활동 단계별활동 개념도 설명 입력 - PCM 시스템에 입력되는 초기 아날로그 신호 표본화 -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값을 일정한 시간적 간격으로 나누어 표본 추출 -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 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Sampling Time 간격으로 나누어 추출 - 샘플링 타임 간격의 기준으로 나이퀴스트 샘플링 정리 활용 - 추출된 펄스열은 PAM 양자.. 2021. 2. 18.
전송매체 I. 송/수신 측을 상호 연결하는 매체, 전송매체의 개요 가. 전송매체의 정의 -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물리적 선로로 접속 형태와 관계없이 노드와 노드, 서버를 연결하는 매체 나. 전송매체의 분류 II. 유선전송매체 전송매체 개념도 내용 꼬임선 두개의 전도체로 구성되어 케이블 가운데 있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감싸는 차폐용 그물망으로 구성 동축케이블 플라스틱으로 덮인 두 가닥의 절연된 구리선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만든 회선 광섬유케이블 머리카락보다 가늘어 휘어지는 전송매체로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휘는 범위의 한계가 존재 III. 무선전송매체 무선전송매체 내용 라디오파 빛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진공상태나 대기를 통과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에 유용 마이크로파 극초단파(U.. 2021. 2. 18.
정보통신 시스템 데이터전송방식, 단방향/양방향(전이중/반이중), 프레임 I.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시스템 체계, 정보통신 시스템의 개요 가. 정보통신 시스템의 정의 -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정보전송시스템(데이터 전송계)와 정보처리시스템(데이터 처리계)로 구성된 시스템 체계 나. 정보통신 시스템의 종류 정보전송시스템 데이터를 이동하는 역할 수행 정보처리시스템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하며 보관하는 역할 수행 II.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단말장치 정보의 입력과 수신 신호변환장치 변조와 복조 진행 통신회선 변환된 신호의 이동 통로나 통신망 통신제어장치 컴퓨터와 모뎀 사이에 위치하여 송수신 데이터 형식 변환 III. 통신회선의 이용방식 이용방식 설명 개념도 단일방식 (Simplex) - 단일방식 - 데이터를 한쪽 방향으로만 .. 2021.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