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데이터베이스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by 비트코기 2024. 6. 3.
반응형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I.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목적

관련근거 목적
공공데이터 법 22 조 공공데이터품질관리 매뉴얼 - 고품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 위해 정보시스템 계획 단계부터 선제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여 양질의 데이터확보 목적

- 공공데이터 법 22 조 기반 공공데이터 4 개 진단영역과, 영역별 진단항목 10 개를 선정하여 예방적 품질관리 위한 진단체계 수립


II.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가.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위한 진단체계

- 공공데이터 품질 위한 진단영역은 데이터 표준, 구조, 값, 관리체계 등이며 진단영역에 따라 진단기준 수립

 

나.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위한 진단체계 상세

진단영역 진단항목 진단기준설명
데이터 표준 데이터 표준화 - 표준 코드, 용어, 단어, 도메인 등 데이터 표준 반영
공통 데이터 표준화 -  기관 데이터 표준 적용을 위한 활동과 관련사항
데이터 표준 관리 도구 -  메타 관리시스템 등 표준화 관리 도구 활용 여부
데이터 구조 데이터 구조 설계 -  모델링 원칙, 가이드, 데이터 구조 설계 관련사항
데이터 구조 검증 -  데이터 변경 이력관리 등 모델링 과정을 포함한 활동
데이터 구조 관리 도구 -  데이터 구조관리를 위한 방안(모델링 도구 등) 적용
데이터 값 데이터 값 검증 -  데이터 값 진단 수행 및 검증 관련사항
이관 데이터 검증 -  이관 데이터 값 진단 수행 및 검증 관련사항
데이터 관리체계 데이터 표준‧구조‧연게‧값 관리체계 -  데이터 표준, 구조, 연계, 값 관리를 위한 필요문서 및 진단도구 등 관련 사항
데이터 개방 관리체계 -  공공데이터베이스의 메타데이터 등록 관리 및 현행화 관련사항 반영 여부

-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화 사업은 대상의 성격과 진행단계, 진단 특성 고려하여 예방 품질진단 기준 적용


III. 정보화 사업 유형별 품질 진단 특성 검토사항

구분 진단특성 검토설명
DB 구축 사업 포함 여부 DB 구축 있는 시스템 -  대부분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DB 구축 없는 시스템 -  진단영역 전체 검토 불필요(장비교체 사업, 네트워크 구축)
데이터 구조 변경 여부 솔루션 도입/개선 사업 -  데이터 변경 불가능으로 진단영역 전체 검토 불필요
자체 구축 사업 -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시스템 신규 및 고도화 여부 신규 시스템 구축 사업 -  이관 데이터 없는 경우 이관 데이터 검증 검토 제외
전면 재구축 사업 -  DB 구축이 필요 시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부분 기능추가 사업 -  DB 구축 포함이나 해당 부분 진단영역 일부 검토 필요

- 품질관리 예산감소와 효율성 위해 정보시스템 구축계획을 수립하는 ISP, ISMP ‘계획’ 단계부터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여 품질 요구가 반영된 RFP 의 작성으로 고품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도


※ 출처  - 한국생산성본부, 118회 기술사 IMPACT 실전모의고사 (KPC 기술사회)
 -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 가이드, 공공데이터품질관리 매뉴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