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I.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목적
관련근거 | 목적 |
공공데이터 법 22 조 공공데이터품질관리 매뉴얼 | - 고품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 위해 정보시스템 계획 단계부터 선제적인 품질관리를 시행하여 양질의 데이터확보 목적 |
- 공공데이터 법 22 조 기반 공공데이터 4 개 진단영역과, 영역별 진단항목 10 개를 선정하여 예방적 품질관리 위한 진단체계 수립
II.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가.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위한 진단체계
![]() |
- 공공데이터 품질 위한 진단영역은 데이터 표준, 구조, 값, 관리체계 등이며 진단영역에 따라 진단기준 수립
나. 공공데이터 4 개영역 예방적 품질관리 방안 위한 진단체계 상세
진단영역 | 진단항목 | 진단기준설명 |
데이터 표준 | 데이터 표준화 | - 표준 코드, 용어, 단어, 도메인 등 데이터 표준 반영 |
공통 데이터 표준화 | - 기관 데이터 표준 적용을 위한 활동과 관련사항 | |
데이터 표준 관리 도구 | - 메타 관리시스템 등 표준화 관리 도구 활용 여부 | |
데이터 구조 | 데이터 구조 설계 | - 모델링 원칙, 가이드, 데이터 구조 설계 관련사항 |
데이터 구조 검증 | - 데이터 변경 이력관리 등 모델링 과정을 포함한 활동 | |
데이터 구조 관리 도구 | - 데이터 구조관리를 위한 방안(모델링 도구 등) 적용 | |
데이터 값 | 데이터 값 검증 | - 데이터 값 진단 수행 및 검증 관련사항 |
이관 데이터 검증 | - 이관 데이터 값 진단 수행 및 검증 관련사항 | |
데이터 관리체계 | 데이터 표준‧구조‧연게‧값 관리체계 | - 데이터 표준, 구조, 연계, 값 관리를 위한 필요문서 및 진단도구 등 관련 사항 |
데이터 개방 관리체계 | - 공공데이터베이스의 메타데이터 등록 관리 및 현행화 관련사항 반영 여부 |
-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된 정보화 사업은 대상의 성격과 진행단계, 진단 특성 고려하여 예방 품질진단 기준 적용
III. 정보화 사업 유형별 품질 진단 특성 검토사항
구분 | 진단특성 | 검토설명 |
DB 구축 사업 포함 여부 | DB 구축 있는 시스템 | - 대부분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
DB 구축 없는 시스템 | - 진단영역 전체 검토 불필요(장비교체 사업, 네트워크 구축) | |
데이터 구조 변경 여부 | 솔루션 도입/개선 사업 | - 데이터 변경 불가능으로 진단영역 전체 검토 불필요 |
자체 구축 사업 | -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 |
시스템 신규 및 고도화 여부 | 신규 시스템 구축 사업 | - 이관 데이터 없는 경우 이관 데이터 검증 검토 제외 |
전면 재구축 사업 | - DB 구축이 필요 시 진단영역 전체 검토 필요 | |
부분 기능추가 사업 | - DB 구축 포함이나 해당 부분 진단영역 일부 검토 필요 |
- 품질관리 예산감소와 효율성 위해 정보시스템 구축계획을 수립하는 ISP, ISMP ‘계획’ 단계부터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여 품질 요구가 반영된 RFP 의 작성으로 고품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유도
※ 출처 | - 한국생산성본부, 118회 기술사 IMPACT 실전모의고사 (KPC 기술사회) |
-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 가이드, 공공데이터품질관리 매뉴얼 |
반응형
'IT기술노트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보안 3대요소 (0) | 2023.10.06 |
---|---|
벡터 데이터베이스 (Vector Database) (0) | 2023.07.06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조인 (Nested Loops, Sort Merge, Hash, Semi) (0) | 2022.12.22 |
DQC (Database Quality Certification) (0) | 2022.12.08 |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 (0) | 2022.09.01 |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MVCC, 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1) | 2021.09.20 |
데이터베이스 샤드(Database Shard) (0) | 2021.03.07 |
In-Memory Database (0) | 2021.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