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In-Memory Database의 개요
가. In-Memory Database의 정의
- 데이터의 저장, 연산을 디스크를 거치지 않고 모두 메인 메모리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나. In-Memory Database의 특징
| 
 특징  | 
 설명  | 
| 
 속도  | 
 - 매체 접근 속도가 우수하고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적은 CPU 인스트럭션 수행 - 디스크 검색보다 자료 접근이 훨씬 빠름  | 
| 
 성능예측  | 
 -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접근하는 것은 성능 예측이 가능하여 즉각적인 응답 시간과 높은 처리량을 요구하는 실시간 환경 응용에 사용  | 
| 
 비용절감  | 
 - 메모리 데이터의 접근이라는 전체를 가지고 만들어진 인덱싱 기법을 이용하여 인덱스 크기를 줄이며 관리비용 절감  | 
II. In-Memory Database의 구성
| 
 기술요소  | 
 설명  | 
 개념도  | 
| 
 T-Tree 인덱스  | 
 - B 트리의 장점과 AVL 트리의 장점 결합 - 데이터 접근 계산 최소화  | 
![]()  | 
| 
 메모리 기반  | 
 - 데이터 접근 비용, 계산, 평가 비용이 디스크 대비 낮음  | 
|
| 
 Backup DB  | 
 - 메모리 내부 데이터를 디스크에 백업용 동기화  | 
III. 컬럼기반, 로우기반 DBMS
| 
 구분  | 
 로우기반 DBMS  | 
 컬럼기반 DBMS  | 
| 
 개념도  | 
 - 사번, 이름, 급여, 전화 - 사번, 이름, 급여, 전화  | 
 - 사번, 사번, 이름, 이름 - 급여, 급여, 전화, 전화  | 
| 
 특징  | 
 - 로우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  | 
 - 컬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  | 
| 
 트랜잭션 특정  | 
 - 레코드 단위 추가, 수정, 삭제 적합  | 
 - 동일 컬럼에 대해 대량 데이터 처리 적합  | 
| 
 압축효율  | 
 - 레코드는 중복이 없이 고유하므로 압축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 
 - 컬럼 값마다 중복된 값이 많으므로 압축 효율 매우 높음  | 
| 
 적용DBMS  | 
 - 오라클, DB2등 일반 RDBMS  | 
 - IQ, HANA등 분석 RDBMS  | 
'IT기술노트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QC (Database Quality Certification) (0) | 2022.12.08 | 
|---|---|
|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 (0) | 2022.09.01 | 
| 다중버전 동시성 제어(MVCC, 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1) | 2021.09.20 | 
| 데이터베이스 샤드(Database Shard) (0) | 2021.03.07 | 
| DB Smell (0) | 2021.03.07 | 
| DB Refactoring (1) | 2021.03.07 | 
| Streaming DBMS (0) | 2021.03.07 | 
| 분산 데이터베이스 (0) | 2021.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