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해시함수의 취약점 보완, 키 스트레칭의 정의
- 단방향 암호화 기법인 해시 함수의 취약점인 레인보우 공격과 브루탈 포스 공격을 피하기 위해 해시함수를
N 번이상 반복하여 다이제스트를 생성함으로써 해시함수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기법
II. 키 스트레칭의 동작원리 및 주요 기술요소
가. 키 스트레칭의 동작원리
![]() |
- 메시지를 해시함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반복회수 만큼 반복해서 생성
나. 키 스트레칭의 주요 기술요소
구분 | 기술요소 | 설명 |
메시지 | 평문(Plaintext) | - 해시함수에 사용될 입력 메시지 |
Salt | - 해시함수를 돌리기 전에 원문에 덧붙이는 임의의 문자열 값 | |
Pepper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는 해시함수를 돌리기 전에 원문에 덧붙이는 임의의 문자열 값 - PEPEER 는 모든 유저에게 동일한 고정 값이 제공 (하드코딩 등의 방법) |
|
해시함수 알고리즘 |
MD5 (Message Digest) |
- 임의의 길이의 값을 입력 받아서 128 비트 길이의 해시 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 |
SHA (Secure Hash Algorithm) |
- 키 길이에 따라 SHA-1, SHA-224, SHA-256, SHA-384, SHA-512 등의 알고리즘을 사용 - SHA-2 사용 권장 (SHA-224, SHA-256, SHA-384, SHA-512) |
|
CRC32 (Cyclic Redundancy Check 32) |
- MD5 나 SHA 보다 계산이 간단해서 빠른 속도로 해시계산 가능 (단 안전성은 MD5, SHA 보다 떨어짐) - 네트워크 간섭, 라인 노이즈, 왜곡 등 오류 감지에 적합 |
|
키 스트레칭 | 반복횟수 | - 키 스트레칭을 위해 해시함수의 결과값인 다이제스트를 N 번이상 반복하기 위한 카운트 계수 |
다이제스트 | -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고정길이 메시지 출력 값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에 나타날 수 있는 사이버 위협 유형 (0) | 2024.01.11 |
---|---|
2023년 9월 15일에 시행된 「개인정보 보호법 및 시행령」의 주요 개정 내용 (1) | 2023.11.25 |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0) | 2023.07.25 |
2023년 개인정보 7대 이슈 (0) | 2023.02.23 |
정보보호 공시제도 (0) | 2022.04.07 |
Log4shell (CVE-2021-44228) (0) | 2021.12.12 |
OWASP, 2021 OWASP TOP 10 (0) | 2021.11.17 |
토르 네트워크(Tor Network) (0) | 2021.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