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Stored-program computer의 개요
가. Stored-program computer의 정의
- 프로그램 수정을 회로의 연결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동일하게 숫자로 표현하여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컴퓨터
나. Stored-program computer의 등장배경
- 재 프로그램의 어려움, S/W 프로그래밍의 시대 도래
다. Stored-program computer의 특징
- 연산의 유연성, 프로그램의 독립성, CPU Memory의 병목
II. Stored-program computer의 수행 절차 및 단계별 활동
가. Stored-program computer의 수행 절차
![]() |
나. Stored-program computer의 단계별 활동
절차 |
설명 |
1, 사전준비 |
- 프로그래머가 사전에 프로그램을 정해진 언어로 작성 - 컴파일러가 기계가 알아들을 수 있는 바이너리 파일로 컴파일을 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준비 |
2, 실행 |
- OS의 실행 파일 로더를 이용, 실행파일을 메모리에 로드 이때, 명령어와 데이터를 모두 메인 메모리에 올려놓고 CPU는 메인 메모리에 있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이용해서 작동 |
3, Fetch |
- CPU내의 CU가 PC값을 이용해서 메인 메모리의 명령어를 읽음 |
4, Decode |
- 읽어온 명령어를 해독한 뒤 PU에게 명령을 지시 |
5, Execution |
- ALU는 명령어에 맞게 연산을 수행, 이때 ACC, FPR등의 레지스터와 GPRs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 |
6, Write Back |
- 연산 결과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라면 레지스트리에 저장된 결과를 메인 메모리에 다시 쓰는 과정 수행 |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주소지정방식 (0) | 2021.03.10 |
---|---|
EISC(Extensible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 (0) | 2021.03.08 |
폰노이만 아키텍처 (0) | 2021.03.08 |
컴퓨터구조 (0) | 2021.03.08 |
암달 법칙(Amdahl’s Law) (0) | 2021.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