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분할, 주소버스, 제어버스, 데이터버스 |
I. 명령 처리와 데이터 처리의 물리적 분할, 하버드 아키텍처의 개요
가.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의 정의
- 폰노이만 아키텍처의 병목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명령용 메모리/버스와 데이터용 메모리/버스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컴퓨터 아키텍처
나. 하버드 아키텍처의 특징
- 복잡성, 우수한 성능, 프로그램 메모리 소자, 데이터 메모리 소자
II.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 |
-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별도로 구성
나.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설명 |
프로그램 메모리 |
ROM |
- 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 - ROM, P-ROM, ER-ROM등의 소자 적용 |
Flash Memory |
- Nand Flash Memory: 저장 용량의 확대에 유리 - Nor Flash Memory: 코드를 직접 실행 가능한 구조 |
|
데이터 메모리 |
S RAM (Static RAM) |
-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기억이 유지되는 소자 - 고속으로 동작하며 Cache Memory 소자로 사용 |
D RAM (Dynamic RAM) |
-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억된 정보가 사라지는 소자 - 용량의 확대에 유리하여 대부분의 주 기억 장치에 사용 |
|
버스 구조 |
Data Bus |
-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송로 - CPU와 기억장치 간의 양방향 전송 구조 |
Address Bus |
- 기억장치의 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전송로 - CPU에서 기억장치로 일방향 전송 구조 |
|
Control Bus |
-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로 - CPU와 메모리 및 주변장치 간에 제어정보 전달 - 일방향, 양방향 전송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 |
-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구분되는 하버드 아키텍처 구성요소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ISC(Extensible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0) | 2021.03.10 |
Stored-program computer (0) | 2021.03.10 |
폰노이만 아키텍처 (0) | 2021.03.08 |
컴퓨터구조 (0) | 2021.03.08 |
암달 법칙(Amdahl’s Law) (0) | 2021.02.25 |
무어 법칙(Moore’s Law) (0) | 2021.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