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

by 비트코기 2021. 3. 8.
반응형

명령어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분할, 주소버스, 제어버스, 데이터버스


I. 명령 처리와 데이터 처리의 물리적 분할, 하버드 아키텍처의 개요

가. 하버드 아키텍처(Harvard Architecture)의 정의

   - 폰노이만 아키텍처의 병목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명령용 메모리/버스와 데이터용 메모리/버스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컴퓨터 아키텍처

나. 하버드 아키텍처의 특징

   - 복잡성, 우수한 성능, 프로그램 메모리 소자, 데이터 메모리 소자


II.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별도로 구성

나. 하버드 아키텍처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프로그램

메모리

ROM

- 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 메모리

- ROM, P-ROM, ER-ROM등의 소자 적용

Flash Memory

- Nand Flash Memory: 저장 용량의 확대에 유리

- Nor Flash Memory: 코드를 직접 실행 가능한 구조

데이터 메모리

S RAM

(Static RAM)

-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기억이 유지되는 소자

- 고속으로 동작하며 Cache Memory 소자로 사용

D RAM

(Dynamic RAM)

- 일정 시간이 지나면 기억된 정보가 사라지는 소자

- 용량의 확대에 유리하여 대부분의 주 기억 장치에 사용

버스 구조

Data Bus

-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송로

- CPU와 기억장치 간의 양방향 전송 구조

Address Bus

- 기억장치의 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전송로

- CPU에서 기억장치로 일방향 전송 구조

Control Bus

- 주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송로

- CPU와 메모리 및 주변장치 간에 제어정보 전달

- 일방향, 양방향 전송 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

-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가 구분되는 하버드 아키텍처 구성요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