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by 비트코기 2021. 2. 15.
반응형

RFC 7252


I. 제한된 환경을 위한, CoAP의 개요

가.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의 정의

   - 제한된 노드와 네트워크 환경을 위해 메시지 포맷 경량화, 비동기 통신지원, RESTful 기반의 URO를 제공하는 IETF 표준 프로토콜

나. CoAP 특징

   - MTU 크기가 작은 곳에서도 사용가능, HTTP Proxy 구현이 용이, RESTful 서비스 연계 가능


II. CoAP 트랜잭션 타입 별 동작 구성도 및 상세설명

타입

동작구성

상세설명

CON

&

ACK

- CON (Confirmable): 수신한 상대방이 ACK메시지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타입

 - ACK (Acknowledgement): CON 요청의 수신자가 응답하는 CoAP 메시지

- 동작설명: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CON 타입으로 온도 정보를 요청

NON

- NON (Non-Confirmable): 수신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아도 되는 CoAP 메시지

- 동작설명: 클라이언트는 NON 타입으로 온도 정보를 요청하였기 때문에 ACK 없이 정보 회신

RST

- RST (Reset): 식별 불가능한 요청 및 응답을 수신했음을 알리는 CoAP 메시지

- 동작설명: 서버가 보낸 온도 정보를 식별할 수 없어, 0xbc90에 해당하는 정보를 RST를 통해 통지

- 정보의 중요성 및 회신주기 등을 판단하여 트랜잭션 타입 결정


III. Packet Loss 발생 상황에서의 대응

   - 첫 재전송 주기는 랜덤 범위 내에서 결정 à 매 재전송 시마다 재전송 주기가 지수적으로 증가 à MAX_RETRANSMIT 횟수만큼 재전송 후 응답이 없을 경우 포기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0) 2021.02.15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0) 2021.02.15
MQTT(MQ Telemetry Transport)  (0) 2021.02.15
LwM2M(Light weight M2M)  (0) 2021.02.15
IoT(Internet of Things)  (0) 2021.02.15
디지털발자국(Digital Footprint)  (0) 2021.02.15
혼합현실(Mixed Reality)  (0) 2021.02.15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0) 2021.02.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