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사물인터넷 표준화 기구, OCF의 개요
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의 정의
- REST 기반의 경량 프로토콜 활용, 오픈소스와 오픈 플랫폼 정책을 기반으로 사물인터넷의 표준화를 주도하고 사물인터넷 기기들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을 제정하는 민간 표준화 기구
나. OCF의 특징
- 오픈소스와 상세스펙을 동시개발, RAML와 JSON 활용, 무상 특허 정책, 공개 IoTivity
II. OCF의 핵심명세 및 이기종 기기 간 상호운용성 시험방안
가. OCF의 핵심명세
구분 |
명세 |
설명 |
1 |
Core Framework |
- 프로파일이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기반 - 인터페이스, 프로토콜과 서비스 등을 정의 |
2 |
Resource Type |
- 스마트홈 리소스들에 대한 기본스키마와 다양한 확장리소스 집합에 대한 정의 |
3 |
Security |
- 상이한 암호화 능력을 갖는 장비들 간의 장치구동과 연결, 보안자원 모델을 정의 |
4 |
Smart Home Device |
- 스마트홈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OIC 호환장치 규격 정의 |
5 |
Remote Access |
- XMPP등의 산업표준을 기반으로 원격접속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과 기능을 정의 |
- 스마트홈,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착수하여 자동차/물류 등의 산업 표준으로 확대 적용 중
나. OCF의 이기종 기기 간 상호운용성 시험방안
시험방안 |
설명 |
|
표준적합성시험 |
개념 |
- 사물인터넷 기기 제품, 또는 서비스의 표준적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적 적합성 테스트 |
기대효과 |
- 표준 자체의 불완전성, 문제점 존재여부 확인 가능 - 표준의 필수사항, 선택사항, 파라미터 값 설정의 적절성 판단 |
|
방법 |
- 표준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지 여부 확인 - 전달되는 데이터 메시지가 표준과 부합하는지 여부 확인 |
|
상호운용성 시험 |
개념 |
- 동일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 두 개 이상의 사물 인터넷 시스템이 신뢰성 있게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 |
기대효과 |
- 기준 장비의 상호운용성의 적합, 부적합 여부 판단 - 기기 자체의 한정된 리소스로 인한 동작 불가 여부 확인 |
|
방법 |
- 종단 기기간 기능적 행위가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확인 (프로토콜 에러 등에 대해서는 확인하지 않음) |
- 시험방법 관련 요구사항, 인증정책 관련 요구사항 2가지 문서로 구분, 기준 만족 제품 OCF Certified
III. OCF 시험/인증의 절차
- 사물인터넷 제품, 서비스 정보입력àTest Plan 생성à공인시험소의 시험수행à결과등록 및 ID발급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 오픈 플랫폼 (0) | 2021.02.16 |
---|---|
핀테크(FinTech) (0) | 2021.02.16 |
Wireless Sensor Network (0) | 2021.02.15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0) | 2021.02.15 |
MQTT(MQ Telemetry Transport) (0) | 2021.02.15 |
LwM2M(Light weight M2M) (0) | 2021.02.15 |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0) | 2021.02.15 |
IoT(Internet of Things) (0)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