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트래블룰 (Travel rule)

by 비트코기 2022. 4. 4.
반응형

1. 가산자산 실명제, 트래블룰의 개요

1) 트래블룰의 정의

   - 가상자산을 이전할 때 송신을 담당하는 가상자산사업자가 이전 관련 정보를 수취인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
   -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금융권에 구축된 자금 이동 추적 시스템

  

2) 트래블룰의 등장배경

  -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개정안

  -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트래블 룰 대상에 가상자산을 추가

  -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글로벌 기준에 부합되도록 제도 개선 필요

  - 자금세탁 방지


2. 코드 트래블룰 프로토콜 구축 프로세스

1) 코드 트래블룰 프로토콜 구축 프로세스

- 출처: 코인원

 

2) 코드 트래블룰 프로토콜 구축 프로세스 설명

프로세스 설명 프로세스 주체
1. 출금요청 - 수취사업자에 수취 지갑주소 탐색 (조회요청) 송금사업자
2. DB확인 - 주소 보유 여부를 송급사업자에게 응답 수취사업자
3. 정보송신 - 송신인 정보를 수취사업자에 전송 송신사업자
4. 정보검증 - 송신인 정보 검토 및 수신인 정보 전송 수취사업자
5. 정보검증 및 송금처리 - 수신인의 정보 검토 후 가상자산 온체인 출금 송신사업자
6. 입금처리 - 트랜잭션 정상여부 확인 후 입금 완료 회신 수취사업자
7. 데이터저장 - 프로세스 종료 및 각 사업자 DB에 VA 거래 관련 데이터 저장 송금/수취사업자

 

3. 트래블 룰 적용 주요 현황

거래소 설명
업비트 - 자회사 람다256을 통해 자체적인 트래블룰 베리파이바스프(VerifyVASP) 솔루션을 적용
- 100만원 이상 디지털 자산 출금 시, 출금 거래소 및 수취인 정보 필수 입력
- 개인 지갑:  메타마스크 지갑(ETH, ERC 계열) 등록 가능
빗썸, 코인원, 코빗 - 트래블룰 합작법인 '코드(CODE)'를 출범
- 코드의 트래블룰 솔루션(금융기관에 특화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R3 코르다') 적용
- 국내 첫 VASF컨소시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