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서비스 연속성 확보를 위한 HA의 개요
- 두 대 이상의 시스템을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어서 한 시스템의 장애 시 클러스터 내의 다른 시스템이 신속하게 서비스를 Failover해 최소한의 서비스 중단을 이루는 메커니즘
- 필요성 : HA 서비스 다운타임 최소화,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 기업 신뢰도/이미지 향상
II. HA의 메커니즘 및 구축유형
가. HA의 메커니즘
![]() |
- 고가용성 확보를 위해 상황에 맞는 다양한 구축 유형 활용
- Failover : 컴퓨터 서버, 시스템, 네트워크 등에서 이상이 생겼을 때 예비 시스템으로 자동전환되는 기능
나. HA의 구축유형
구축유형 | 개념도 | 설명 |
Hot Stand-by | ![]() |
- 가동 시스템과 평상시 대기 상태 또는 개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백업 시스템으로 구성 |
Mutual Takeover | ![]() |
- 2개의 시스템이 각각의 고유한 가동 업무 서비스 수행 - 장애 발생시 상대 시스템의 자원을 Failover하여 동시에 2개 업무 수행 |
Concurrent Access | ![]() |
- 여러 개의 시스템을 동시에 나누어 병렬처리하는 방식 - HA에 참여하는 시스템 전체가 Active한 상태로 업무수행 |
-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 필요에 따라 HA와 FTS 사용 고려
III. HA와 FTS의 비교
구분 | HA | FTS |
중단시간 | - 10초 ~ 300초 | - 0초 |
구축비용 | - 시스템의 약 2배 | - 시스템의 약 20~30배 |
운영환경 | - 범용시스템 | - 전용시스템 |
활용사례 | - 기업 홈페이지 | - 금융거래 사이트, 온라인 쇼핑몰 |
반응형
'IT기술노트 > 컴퓨터구조 및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마포어 (Semaphore) (0) | 2022.07.28 |
---|---|
뉴로모픽 칩(Neuromorphic Chip) (0) | 2022.07.04 |
DAS, NAS, SAN (0) | 2022.06.29 |
파이프라인 해저드 유형 및 해결방안 (0) | 2022.06.05 |
프로세스 간 통신(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0) | 2021.12.30 |
우선순위 역전(Priority Inversion) (0) | 2021.10.20 |
데스크탑 가상화(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0) | 2021.03.12 |
쿠버네티스(Kubernates)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