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보안

터널링(Tunneling)

by 비트코기 2021. 2. 28.
반응형

I. 전송 데이터의 캡슐화를 통한 보안기능, Tunneling의 개요

가. 터널링(Tunneling)의 정의

   - 통신망 상의 두 점 간의 통신이 되도록 하위 계층 통신 규약의 패킷을 상위 계층 통신규약으로 데이터를 캡슐화해서 수신자 이외에는 알아볼 수 없도록 전송하는 기술


II. 터널링의 구현과정 및 방법방법

가. 터널링의 구현과정

나. 터널링의 구현방법

TCP/IP 계층

프로토콜

내용

데이터링크

계층
(2
계층)

PPTP

-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 PPP 확장 개발된 프로토콜(보안 강화, 멀티프로토콜통신)

- TCP/IP를 그대로 이용, 외부인은 접근불가 VPN을 별도 운용

- 새로운 EAP를 사용하여 뛰어난 안정성 보장

L2TP

(Layer 2

Tunneling

Protocol)

- PPTP + L2F = ITEF가 산업 표준으로 제정한 프로토콜

- IP, IPX, NetBEUI 트래픽을 암호화한 다음, IP 헤더로 캡슐화해 전송

- L2TP IPSec 결합형태에서 연결은 DES알고리즘을 사용

MPLS

-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 IP 패킷 앞에 Label을 붙여 Label 스위칭을 통해 전송

네트워크

계층
(3
계층)

IPSec

(IP Security Protocol)

- TCP 3계층에서 이루어지는 Tunneling, Ipv6 보안 프로토콜

- 인증 허용 AH와 송신자의 인증과 데이터 암호화를 함께 지원하는 ESP, 키교환을 위한 IKE로 보안서비스 제공

- AH가 추가돼 캡슐화, ESP 헤더가 삽입되면 IP패킷 암호화

전송

계층
(4
계층)

SSL

(Secure Socket Layer)

- IPSec 단점인 설치 복잡, 플랫폼 별 낮은 호환성 보완

- Client Server Handshake을 통한 암호화 프로토콜

- 사용자 영역 프로토콜(5계층)이기에 커널 수정 없이 단순히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사용 가능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결함정(Connection Trap)  (0) 2021.03.07
전자서명  (0) 2021.02.28
SSL(Secure Socket Layer)  (0) 2021.02.28
IPSec(IP Security)  (0) 2021.02.28
이상탐지(Anomaly Detection)  (0) 2021.02.28
오용탐지(Misuse Detection)  (0) 2021.02.28
IPS(Intrusion Protection System)  (0) 2021.02.28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0) 2021.0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