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보안

IPS(Intrusion Protection System)

by 비트코기 2021. 2. 28.
반응형

I. 침입탐지와 실시간 방어를 위한 솔루션 IPS의 개요

가. IPS(Intrusion Protection System)의 정의

   - 침입 탐지 시스템의 오 탐지 또는 미 탐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침입 탐지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방어가 가능한 보안 솔루션

나. IPS의 요건

   - 정확성, 관리정책, 확장성과 처리속도, 철저한 사후조사, 멧갈프 법칙의 정의


II. IPS의 구성도 및 유형

가. IPS의 구성도

- 내부 망으로 들어오는 패킷 검사, Rule DB 규칙 근간의 통과 심사, 공격 판단 패킷은 DROP

나. IPS의 유형

구분

HIPS(Host Based IPS)

NIPS(Network Based IPS)

개념

- 특정 서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형태로 설치, 시큐어 OS와 유사기능 수행

- 방화벽처럼 네트워크 인라인 모드로 설치되어 공격을 차단해주는 기능 수행

- 정책에 근거한 패턴 탐지

- 정상/비정상 접근에 대한 학습 기능

특징

- 서버 기반의 커널 조작 등 불법적인 서버 침입 방지

- DDoS, 버퍼 오버 플로우 등 네트워크 기반 공격에 빠른 대응과 사전 차단 및 방비

목적

- 시스템 불법 침입 및 바이러스, 해킹 등 호스트 기반 보호

- 네트워크 기반의 공격 등 과도한 트래픽 공격 방지

장점

- 커널 상에서 불법 응용 실행 방지 업데이트 및 패치 관리 용이

- 하드웨어 기반의 빠른 대응속도

- 대부분 자동 수행 기능

단점

- 에이전트 설치비용 증가

- 정상적인 응용 프로그램 방해 가능성 발생

- 네트워크 상의 단일 실패 점 존재로 여분의 장비 필요

- 보안 업데이트에 의존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Sec(IP Security)  (0) 2021.02.28
터널링(Tunneling)  (0) 2021.02.28
이상탐지(Anomaly Detection)  (0) 2021.02.28
오용탐지(Misuse Detection)  (0) 2021.02.28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0) 2021.02.28
방화벽(Firewall)  (0) 2021.02.28
사이버 전쟁(Cyber Warfare)  (0) 2021.02.28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0) 2021.02.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