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일반교환방식(회선교환방식, 패킷교환방식), 고속교환방식(프레임 릴레이, 셀 릴레이)  | 
I. 데이터의 경로지정 수행 장치, 교환시스템의 개요
가. 교환시스템의 정의
- 각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보낸 데이터를 모으고 모아진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보낼 것인가를 결정해주는 경로 지정 기능 수행 장치
나. 교환시스템의 필요성
- 교환기를 사용함으로 단말 당 1개의 회선 필요
- 교환기가 없다면 4대의 단말을 모두 연결하려면 6개 필요, 단말이 증가할수록 그 수는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II. 교환시스템의 분류 및 설명
가. 교환시스템의 분류
![]()  | 
나. 교환시스템의 분류 설명
| 
 구분  | 
 교환시스템  | 
 설명  | 
| 
 일반교환방식  | 
 회선교환방식  | 
 두 선로 사이의 회선을 설정하여 전송하는 방식, 회선 설정 시 독립적 사용  | 
| 
 패킷교환방식  | 
 패킷이라 불리는 적은 데이터 단위가 각 패킷에 담긴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발송되는 방식  | 
|
| 
 X.25  |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된 공중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최초의 표준  | 
|
| 
 고속교환방식  | 
 프레임 릴레이  | 
 장거리 통신망(WAN)에서 사용하는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 중 하나 프레임 릴레이 사용 시 1개의 포트를 이용하여 최대 990개 연결 가능  | 
| 
 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가변적 크기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가상회로 사용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통신 시스템 (0) | 2021.02.18 | 
|---|---|
| 데이터 부호화(Data Encoding) (0) | 2021.02.18 | 
| 다중접근 프로토콜(Multiple Access Protocol) (0) | 2021.02.18 | 
| 프로토콜 (0) | 2021.02.18 | 
| 근거리 통신망 (0) | 2021.02.17 | 
|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0) | 2021.02.17 | 
| LAN, MAN, WAN (0) | 2021.02.17 | 
| 네트워크(Network)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