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및 구성요소
가.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구성도
![]() |
-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는 아래로부터 물리적 시스템 계층, 가상화 계층, 프로비저닝 계층, 서비스 관리체계 계층, 서비스 계층으로 구성
나.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계층별 특징
|
계층 |
설명 |
|
물리적시스템 |
- 클라우드가 인프라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HW 영역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해당 |
|
가상화 |
-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가상 인프라(가상머신, 가상 스토리지 및 가상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영역으로 하이퍼바이저, 스토리지 가상화 솔루션 포함 |
|
프로비저닝 |
-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가상 인프라를 가상화 계층에 생성(프로비저닝)하는 계층으로 관리체계에서 내려진 프로비저닝 명령에 따라 가상화 계층에 가상 인프라를 생성하고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 |
|
서비스관리체계 |
- 클라우드 인프라를 관리하고 서비스 요청에 따라 하위 계층에 필요한 자원을 생성, 삭제하는 관리영역으로 성능 및 가용성 관리, 자원관리 및 과금, 계정관리, 보안정책을 정의하고 수행 |
II.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용어
|
용어 |
설명 |
|
가상화 |
- 물리적 구성은 은폐하고, 가상환경을 여러 개 만들어 개별 가상 머신이 자원을 갖추고 있게 만드는 기술 |
|
프로비저닝 |
- IT 인프라 자원을 사용자의 니즈에 맞게 할당/배치/배포해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
하이퍼바이저 |
- 물리서버 위에 존재하는 가상화 계층으로 OS 구동을 위한 HW 환경을 가상으로 제공 |
|
분산파일시스템 |
-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수 많은 서버에 나누어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 |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클라우드 서비스 브로커(Cloud Service Brokerage) (0) | 2021.02.15 |
|---|---|
|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별 품질지표 (0) | 2021.02.15 |
| 멀티 클라우드(Multi Cloud) (0) | 2021.02.15 |
| 클라우드 참조모델(IoT 개방형 센서정보 클라우드 시스템) (1) | 2021.02.15 |
| 카프카(kafka) (0) | 2021.02.15 |
| 퍼스널 클라우드(Personal Cloud) (0) | 2021.02.15 |
|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0) | 2021.02.15 |
|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0) | 2021.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