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크립토 월렛

07. 크립토월렛의 개요 - 클립토 월렛의 주요 기능

by 비트코기 2023. 9. 29.

크립토 월렛 분석과 검토를 통한 개인키 관리 및 사례 연구

03. 크립토 월렛의 개요


제3절. 크립토 월렛의 주요 기능

크립토 월렛은 넓은 의미로 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자산을 거래하는 경우 공개키와 개인키로 알려진 2개의 키 쌍을 이용하며 크립토 월렛은 키를 관리하고 사용자의 자산에 접근하는 것을 통제하고 키와 지갑을 관리하며 잔액을 추적하고 거래를 생성 및 서명한다. 이러한 기능 외에도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에서 점점 시장 규모가 커지는 NFT 거래와 Web3 연결을 위해 DApp 인증 기능 등을 제공하며 지갑의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

 

1. 암호화폐 관리

암호화폐를 안전하게 보관·관리하는 것은 크립토 월렛의 기본 기능으로 세부적인 기능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암호화폐의 보관 기능이다. 크립토 월렛은 암호화폐의 개인키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곳으로 이 개인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는 분산 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으며 크립토 월렛은 이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여 암호화폐의 송수신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크립토 월렛은 암호화폐의 전송기능도 제공한다. 암호화폐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거나 다른 지갑으로 이체할 수 있다. 보내는 사람은 수신자의 암호화폐 주소를 입력하고 전송하면 해당 암호화폐가 수신자의 크립토 월렛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크립토 월렛은 암호화폐의 잔액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의 포트폴리오(Portfolio)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보낼 때나 받을 때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2. NFT(Non-Fungible Token) 관리

일반적인 크립토 월렛은 ERC-20 프로토콜(Ethereum Request for Comments-20 Protocol)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암호화폐를 관리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서 발행된 암호화폐는 FT(Fungible Token)로 불리며, 각각의 토큰이 같은 가치를 제공하고 대체가 가능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NFT는 각각의 토큰이 고유하고 대체 불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어서 FT를 관리하는 방식과는 다르게 관리해야 한다.

 

<그림 3-1> NFT와 FT의 비교

 

이러한 NFT는 각각 고유한 속성과 소유권을 가지며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발행될 수 있어 FT와는 다른 복잡한 관리 방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NFT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이더리움에서 발행된 NFT는 ERC-721이나 ERC-1155 프로토콜을 따르고, 다른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NFT는 해당 블록체인에서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NFT 관리를 지원하는 크립토 월렛은 NFT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블록체인과 상호 작용하여 소유권을 확인하고 보관하며 NFT 전송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소유한 NFT를 추적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3. Web3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 연결

크립토 월렛은 DApp 연결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DApp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된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으로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 등을 통해 작동한다. 먼저, 크립토 월렛은 DApp 연결을 위한 WEB 3.0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DApp에 쉽게 연결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크립토 월렛은 DApp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 이를 처리하고 사용자의 개인키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DApp에서 요구하는 암호화폐의 송금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DApp 내에서 암호화폐를 송금하거나 DAp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필요한 암호화폐를 크립토 월렛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크립토 월렛은 DApp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암호화폐 거래 내역을 추적하고 기록해서 사용자 자신의 암호화폐 거래 내역을 간편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