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y)

by 비트코기 2021. 3. 6.
반응형

외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I. 데이터 독립성의 개요

가.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y)의 정의

   -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나 물리적 구조가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성질

나. 데이터 독립성의 종류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의 변경은 서로 영향 없음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내부 스키마, 개념 스키마의 변경은 서로 영향 없음


II. 데이터 독립성의 개념도 및 구성요소

가. 데이터 독립성 개념도

- 하위 스키마의 구현 내용을 추상화하여 하위 스키마가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는 변하지 않음

나. 데이터 독립성의 구성요소

항목

정의

핵심

외부 스키마

(External Schema)

- 뷰 단계 여러 개의 사용자 관점으로 구성

- 각각의 사용자가 보는 개인적인 DB 스키마

- DB의 각각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DB 정의

사용자 관점

개념 스키마

(Conceptual Schema)

- 하나의 개념적 스키마로 구성, 사용자 관점 통합 조직 전체 DB 기술

-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그들간의 관계 표현

통합 관점

내부 스키마

(Internal Schema)

- 내부 스키마로 구성 DB가 물리적으로 저장된 형식

-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 저장되는 방법 표현

물리적 저장구조

 

반응형

'IT기술노트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결성제약조건(Integrity Constraint)  (0) 2021.03.06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0) 2021.03.06
데이터 키(Data Key)  (0) 2021.03.06
3단계 스키마구조  (0) 2021.03.06
릴레이션 무결성 (Relational Integrity)  (0) 2021.03.06
릴레이션  (0) 2021.03.06
Phantom Conflict  (0) 2021.03.06
트랜잭션(Transaction)  (0) 2021.03.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