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보안

악성코드

by 비트코기 2021. 2. 28.
반응형

I. 악성코드의 개요

가. 악성코드의 정의

   - 사용자 정보 탈취,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 등의 악의적인 목적을 실행하며, 자기 복제와 정상 파일에 삽입하여 실행 가능한 모든 프로그램 또는 파일

나. 악성코드의 특징

   - 트로이 목마와 웜 증가, PC 해킹 증가, 고난도 공격


II. 악성코드의 분류체계 및 유형

가. 악성코드의 분류체계

나. 악성코드의 유형

분류

유형

내용

호스트

프로그램 의존형

트랩도어

(백도어)

-관리자나 개발자가 시스템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숨겨놓은 코드

-공격자가 복잡한 공격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스템 접근 가능

논리 폭탄

-정상적인 프로그램의 일부를 조작하여 특정 조전을 충족하는 경우 실행

-자료나 소프트웨어 파괴를 목적으로 실행

트로이 목마

-정상적인 소프트웨어 내부에 악의적 행위를 하는 코드 삽입

-정상 사용자 권한을 이용하여 파일 권한 변경, 파일 삭제, 계정 생성 등의 행위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못하게 수행

바이러스

-감염시키고자 하는 파일 검색, 자신의 코드를 삽입하는 악성 코드

-감염된 파일 실행 시 바이러스도 실행, 확산이 자동적으로 실행

호스트

프로그램 독립형

-네트워크 연결을 이용하여 자신의 실행 코드 복제하는 악성코드

-바이러스와 차이점은 다른 프로그램에 자신을 삽입하지 않음

좀비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해 은닉

-웹 사이트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에 사용됨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싱(Phishing)  (0) 2021.02.28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  (0) 2021.02.28
압축 기법과 암호화 기법  (0) 2021.02.28
랜섬웨어(Ransomware)  (0) 2021.02.28
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  (0) 2021.02.27
난독화(Obfuscation)  (0) 2021.02.27
시큐어코딩(Secure Coding)  (0) 2021.02.27
스마트폰 포렌식  (0) 2021.02.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