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기술노트/디지털보안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

by 비트코기 2021. 2. 26.
반응형

I. 증거분석을 위한 핵심 기법, 스테가노그래피 분석법의 개요

가.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 분석법의 정의

   - 스테가노그래피(정보은닉) Anti-Forensic 기법 중 하나로 디지털 매체(이미지 파일, MP3, WAV)에 정보를 암호화하 여 숨기는 기술

   - 내부 정보를 유출하거나 비밀 정보를 숨기기 위해서 사용되며 주로 기업의 기밀 정보, 핵심 기술을 유출시키기 위해 사용

나. 스테가노그래피 분석방법

- 스테가노그래피를 사용해 이미지에 기밀정보를 삽입하였지만,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는 불가능

- 스테가노그래피의 약점은 다량의 데이터를 은닉하는 데는 제한이 있으며 통계적 분석 방법에 의해 숨겨진 데이터의 검출이 용이

- 스테가노그래피 분석을 위해 통계적 분석방법을 통해 은닉정보를 탐지하며 패스워드 무차별 대입 방법을 통해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 최근에 스테가노그래피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 및 상용 제품이 많이 보급되고 있으나, 점차 정보은닉의 방법 지능화, 고도화 되어가고 있다.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독화(Obfuscation)  (0) 2021.02.27
시큐어코딩(Secure Coding)  (0) 2021.02.27
스마트폰 포렌식  (0) 2021.02.26
네트워크 포렌식  (0) 2021.02.26
슬랙 스페이스(Slack Space)  (0) 2021.02.26
데이터 카빙(Data Carving)  (0) 2021.02.26
모바일 포렌식  (0) 2021.02.26
컴퓨터 포렌식(Computer Forensic)  (0) 2021.02.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