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sive MIMO, Small Cell, Ultra Wideband, NOMA |
I. 초고속, 초연결, 저지연 사회를 위한 통신기술 5G의 개요
가. 5G(IMT-2020)의 정의
- 4G 시스템 대비 20배 빠른 전송속도 및 10배 많은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수용하고, Real 3D 입체 영상 서비스 기술을 구현한 차세대 이동통신
나. 5G의 특징
특징 |
내용 |
초광대역 통신 (eMBB) |
- 현재의 1000배, 사용자당 전송속도는 10배~100배의 초고용량 통신 기반 - 다양한 초고용량 콘텐츠(3D 영상 및 홀로그램) 서비스 지원 |
초연결 통신 (mMTC) |
- 셀 중심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중심 네트워크로 진화 - 장소, 시간, 사물 제약 없이 고품질 통신 서비스 제공 |
초저지연 처리 (uRLLC) |
- 종단간 지연시간 최소화 - 생각하는 순간 반응하는 초 실시간 서비스 제공 |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 |
- 가상화 기술 적용하여 효율성, 유연성, 자율성, 개방성, 경제성 강조된 구조로 진화 -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술 이용 |
![]() |
다. 5G의 필요성
- 트래픽 증가, 디바이스 수 증가, 클라우드 의존성 증가, 다양한 모바일 융합서비스 등장
라. 5G 8대 핵심 성능지표
- 1) 최대전송속도, 2) 이용자 체감 전송 속도, 3) 주파수 효율성, 4) 고속 이동성
- 5) 전송지연, 6) 최대기기 연결 수, 7) 에너지 효율성, 8) 면적당 데이터 처리용량
마. 이동통신의 발전과정
![]() |
II. 5G의 개념도 및 기술요소
가. 5G의 개념도
![]() |
나. 5G의 기술요소
구분 |
기술요소 |
내용 |
용량 증대 |
네트워크 고밀도 기술 (Network Densification) |
- 셀의 트래픽 양을 증가시키고 셀의 크기를 줄여 일정 영역 내 셀의 개수를 증가시켜 셀 분할에 다른 용량 증대 |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 (Massive MIMO) |
- 기지국에 수십 혹은 수백 개의 안테나를 장착하여 동일 자원으로 수십 명의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함으로 인해 높은 용량과 에너지 효율 증대 ![]() |
|
전이중 (In-band Full Duplex) |
- 송신 무선자원과 수신 무선자원을 공유하여 무선 자원의 양을 높이는 전이중 방식의 전송방식으로 전송 효율 증대 |
|
비직교 다중접속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
-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주파수, 공간 자원상의 두 대 이상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 |
|
초광대역 (Ultra Wideband) |
광대역 초기접속 기술, 각 단말에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HARQ 전송 및 피드백 지원 기술, 기존 셀룰러 대역과의 협력 기술 |
|
저지연 |
저지연/고신뢰 무선전송 (Low Latency & High Reliability) |
- 무선 접속 구간은 스케줄링 요청, 자원할당 무선 구간에는 데이터 전송, 복조 등으로 패킷의 단대 단 지연 줄임 |
단말 네트워킹 (Device Networking) |
- 커버지리 내외에서의 단말간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IoT환경 지원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지원 |
|
기타 |
FTN (Faster-Than-Nyquist) |
- 동일한 대역폭에서 Nyquist rate보다 더 빠른 Rate으로 전송하여 Capacity를 증대시키는 기술로 전송 대비 전송률이 30~100%까지 향상 ![]() |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 |
- 다수의 필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반송파에 다수의 서로 다른 심벌을 주파수 효율적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 (OFDM과 비교) ![]() |
|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 서로 다른 궤도각 운동량을 갖는 전자기파에 각각 다른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방법 |
|
NR (New Radio) |
-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접속 기술 |
III. 5G의 이동통신 표준
가. 4G와 5G의 이동통신 표준
![]() |
나. 3GPP 5G 표준화 일정
![]() |
- Release 14까지 4G LTE를 업그레이드 해왔으며, 최초 국제 5G표준은 2018년 6월에 Release 15시기에 발표
- Release 15에서는 Release 14에서 계속 발전시킨 LTE 진화기술도 포함
- Release 15에서 나온 5G 표준을 ‘5G phase 1’ 표준으로 부르며, 이후 Release 16에서 나올 5G 표준은 ‘5G Phase 2’라고 한다
다. 5G NSA와 SA
![]() |
라. 5G 표준 release별 NR(New Radio) 표준기술
- NR 시스템은 원래 일반적인 용어로 차세대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New Radio의 약자였으나, 현재는 NR 자체가 하나의 시스템에 대한 용어로 확정되어 사용
- Release 15 (NSA, SA, NR-NR-DC-
- Release 16 (Enhancement NR, 5G V2X with sidelink, IIoT, IAB, NTN, NR-U)
'IT기술노트 > 디지털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터널링 (0) | 2021.02.22 |
---|---|
오버레이 네트워크(Overlay Network) (0) | 2021.02.22 |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0) | 2021.02.22 |
PS-LTE (2) | 2021.02.22 |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0) | 2021.02.22 |
LTE(Long Term Evolution) (0) | 2021.02.22 |
WI-FI (0) | 2021.02.22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0) | 2021.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