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해결을 위한 송신측 데이터 제한, 흐름제어의 개요
가. 흐름제어의 정의
-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와 데이터 저장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송 측에서 전송 데이터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차
나. 흐름제어의 필요성
- 수신 장치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와 메모리의 제한
- 수신측 프레임 처리 속도보다 송신 속도가 빨리 수신 버퍼에 저장, 이때 버퍼가 작으면 프레임 폐기
- 수신측 에서 데이터 오버 플로우를 송신측에 통보하는 피드백이나 매커니즘 필요
다. 흐름제어의 방법
방식 |
내용 |
송신제어방식 |
정지대기방식, 한번에 1개씩 수신 확인하며 프레임을 전송하는 흐름제어 |
전송률 기반 |
Rate Based,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임계 값 관리에 의한 흐름제어 |
윈도우 기반 |
Sliding Window, 여러 개의 프레임을 동시에 보내고자 하는 흐름제어 |
II. Stop and Wait 방식
가. 정지대기 방식의 정의
- 가장 단순한 형태의 자동 재전송 요구(ARQ)로 송신 측이 1개의 블록을 전송하면 수신 측에서 오류 발생을 점검하여 긍정 응답 문자(ACK)나 부정 응답 문자(NAK)를 보낼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
나. 정지대기 방식의 개념도
![]() |
다. 정지대기 방식의 장/단점
장점 |
구현이 용이, 구조가 간단 |
단점 |
하나의 프레임을 보내서 ACK가 수신 되어야 만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기 때문에 효율성 저하 |
반응형
'IT기술노트 > 디지털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팅(Routing) (0) | 2021.02.21 |
---|---|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0) | 2021.02.21 |
오류제어 (0) | 2021.02.21 |
슬라이딩 윈도우 (0) | 2021.02.20 |
CDMA/CD, CDMA/CA (0) | 2021.02.20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0) | 2021.02.20 |
DNS(Domain Name System) (0) | 2021.02.20 |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0) | 2021.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