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탈중앙화 분산화 된 어플리케이션 디앱의 개요
가.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의 정의
- 블록체인 기술로 실행되는 분산 네트워크 덕분에 가능해진 분산화 된 어플리케이션
- 이더리움, 이오스, 퀀텀 같은 플랫폼 코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분산 어플리케이션
나. 디앱의 특징
특징 |
설명 |
조작불가 |
데이터 저장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 |
암호화폐와의 통합 |
대부분의 DApp은 마이크로 트랜잭션을 빠르게 도입하거나 특정 행동을 장려하거나, 어플리케이션 참여자간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암호화폐 사용 |
분산화 |
분산형 거버넌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관리되고 업데이트 되는 오픈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단일 관리자에 의존적이지 않는다. |
탈중앙화 |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의 미래는 회사가 이미 보유한 이익보다는 전체 네트워크의 이익을 목표 |
II. 디앱의 구성도 및 주요기능
가. 디앱의 구성도
![]() |
- 스마트 계약은 다양한 계약을 자동으로 실행
나. 디앱의 주요기능
구분 |
주요기능 |
상세설명 |
관리 |
- 조건처리 - 상태변화관리 - 데이터저장 |
- 외부 인터페이스 표준화에 따른 탈 중앙화 된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기반으로 P2P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분산 어플리케이션 구동 |
- Front End - Back End |
- Front End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 (Web / App)로 개발 - Back End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준으로 동작 |
|
연계 |
- P2P 노드 간 어플리케이션 연계 |
- Whisper, Swarm, Ether Browser -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 구현 가능한 비즈니스를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 지원 |
- 외부 스토리지 |
- 내부 저장공간 해결을 위해 IFPS와 같은 외부 스토리지 서비스 연계 가능 |
'IT기술노트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FDS(Fraud Detection System) (0) | 2021.02.16 |
---|---|
블록체인 거버넌스 (0) | 2021.02.16 |
DID(Decentralized Identity) (0) | 2021.02.16 |
Smart Contract Audit (0) | 2021.02.16 |
하이퍼레저(Hyperledger) (0) | 2021.02.16 |
솔리디티(Solidity) (0) | 2021.02.16 |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 (0) | 2021.02.16 |
블록체인 마이닝(Blockchain Mining) (0) | 2021.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