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노트/디지털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비트코기
2023. 12. 12. 11:37
반응형
클라우드 네이티브 (Cloud Native)
1. 클라우드 최적화,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개요
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념
- 시스템 민첩성, 가용성 확보를 위해 인프라, 아키텍처, 어플리케이션, 개발환경까지 클라우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보시스템을 구축 및 실행하는 환경
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성숙도 단계
![]() |
-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클라우드 성숙도 최고 단계로 MSA, 컨테이너 등 4가지 핵심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시스템 구현
2.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도 및 주요 기술요소
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성도
![]() |
-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되는 위치가 아닌 어플리케이션이 구축, 배포 및 관리되는 방식에 중점을 두고 필수 기술이 구성
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주요 기술요소
구성요소 | 기술요소 | 설명 |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
MSA | - 탄력적으로 결합된 소단위 모듈식 서비스 구축 지원 |
Polyglot | - 다언어 아키텍처, 서비스별 상이한 개발언어 적용 | |
API 기반 통신 커뮤니케이션 |
API Gateway | - 메시지 경량화, 서비스 단순화, 관리 효율 향상 |
Service Mesh | - MSA 환경 트래픽 복잡성 최소화, Proxy 기반 경량화 | |
컨테이너 기반 인프라 |
Docker | -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안전하게 격리되도록 지원 |
Kubernetes | - 컨테이너 쉽고 빠르게 배포 및 확장, 관리 자동화 | |
애자일 프로세스 |
DevOps | - DevOps 원칙을 통한 애자일 방식 구현 |
CI/CD | - 시스템 민첩성 확보 위한 배포 프로세스 자동화 |
- 클라우드 환경 아래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 기반 조성 및 정부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속성을 제고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및 디지털플랫폼위원회에서 전환 로드맵을 수립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우선적용 원칙을 규정
3. 정부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계획
![]() |
- 2023 년 행안부 시스템 대상 시범사업추진을 시작으로 2030 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100% 전환을 목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24 년까지 전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각 공공기관에 방향을 제시할 방침
※ 출처 | - 한국생산성본부, 115회 KPC 기술사 IMPACT 실전모의고사 1교시 (KPC 기술사회) |
- 클라우드 네이티브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발주자 안내서(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Ps. KPC 기술사회 (한국생산성본부)는 기출문제, 모의고사, 합숙 등 해설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좋은 내용의 해설지를 제가 조금 손을 봐서 블로그에 올리려고 합니다.
혹시 문제가 되면 KPC 기술사회와 이야기해보고 잘 협의하거나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