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기술노트/소프트웨어공학

EVM(Earned Value Management)

비트코기 2021. 2. 4. 23:28
반응형

측정지표(BAC, EV, PV, AC), 분석지표(CV, SV, CPI, SPI), 예측지표(ETC, EAC, VAC)


I. 프로젝트 원가 통제를 위한 EVM의 개요

가. EVM(Earned Value Management)의 정의

   - 현재까지 완료된 작업의 가치를 산출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관리함으로써 향후 성과(일정,비용)을 예측하는 프로젝트 관리활동

나. EVM의 필요성

특징

내용

비용/일정관리

프로젝트가 다변화, 복잡화, 비용 일정관리 어려움

추가비용통제

현재 획득가치 대비 일정지연, 추가비용 통제 필요


II. EVM의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

가. EVM의 프레임워크

나. EVM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측정요소

PV (Planned Value)

계획 가치

- 현재 시점까지 계획된 예상 비용

- 산정일 기준으로 각 작업 별 계획했던 작업비용을 합산한 값

EV (Earned Value)

획득 가치

- 프로젝트 진행률(%)

- EV = BAC * 진행률

- 현재까지 완료된 성과에 대한 계획된 비용

AC (Actual Cost)

실제 원가

- 현재까지 프로젝트에 투입된 지출 원가

- 산정일 기준으로 각 작업 별 실제 소요비용을 합산한 값

BAC (Budget at Completion)

완료 시점 예산

- 전체 프로젝트에 할당된 예산

분석요소

SV

(Schedule Variance)

일정 차이

- SV = EV - PV

- 계획대비 일정 편차 분석

- SV>0(양호), SV=0(준수), SV<0(지연)

CV

(Cost Variance)

원가 차이

- CV = EV - AC

- 예산 초과했는지 분석

- CV>0(양호), CV=0(준수), CV<0(초과)

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

일정성과지수

- SPI = EV / PV

- 일정대비 얼마나 효율적으로 성과를 냈는지, 일정차이 분석

- SPI>1(양호), SPI=1(준수), SPI<1(지연)

CPI

(Cost Performance Index)

원가성과지수

- CPI = EV / AC

- 실제 원가지출의 효율성 측정지수 (원가차이 분석)

- CPI>1(양호), CPI=1(준수), CPI<1(초과)

예측요소

BCWR

(Budgeted Cost for Work Remained)

남은 업무

- BCWR = BAC – EV

- BAC에서 현재 기준일까지 완료된 실시간성을 감한 금액

ETC

(Estimate to Completion)

잔여분 산정치

(완료를 위한 예상 비용)

(BCWR / CPI)

- Typical 방식 (CPI가 일정한 비율일 때)

- ETC = (BAC – EV) / CPI

- 현재까지 나타난 CPI를 반영하여 프로젝트 종료 시까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계산함

- Atypical 방식 (CPI가 일정하지 않을 때 1)

- ETC = BAC – EV

- 잔여분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원가 추정치(초기 계획 기준)

EAC

(Estimate at Completion)

- EAC = AC + ETC

- 현시점에서 예측 종료 발생 원가

- (프로젝트 완료 최종 예산)

VAC

(Variance at Completion)

- VAC = BAC - EAC,

- 종료 시 추가 발생 원가 추정치

- (프로젝트 완료시점 비용 편차)

실제 진척 상황

- (EV-PV)/PV

- (+) :일정 선행, (-) : 일정 지연

실제 예산 상황

- (EV-AC)/PV

- (+) : 예산 절감, (-) : 예산 초과


III. 진행률을 이용한 기성고 산정 절차

순서

내용

1

- 진행률% = 완료된 작업 / (완료된 작업 + 미완료작업) *100

2

- EV = BAC * 진행률

3

- PV = 산정일 기준으로 각 작업별 계획했던 작업 비용을 합산한 값

4

- AC = 산정일 기준으로 각 작업별 실제소요 비용을 합산한 값

5

- SV = EV – PV, if SV<0, 일정지연 else SV>0, 양호

- CV = EV – AC, if CV<0, 예산초과 else CV>0, 양호

반응형